면역력 조정/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면역불균형의 형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나고 모두 면역 조정이 필요하다
1) 알러지 ; 우리 면역 체계가 외부 유입 물질(항원)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상태
2) 자가면역질환 ; 면역의 주 역할이 자기와 비자기를 구별하는 능력인데 통신에러로 구별을 못하는 상태,,, glycosylation장애,,,
3) 저면역 상태 ; 면역력의 구조와 기능 장애로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
A. 알러지 – 과면역
- 아토피
- 두드러기
- 혈관부종
- 히스타민불내성
B. 자가면역질환
- 원형탈모, 건선, 아토피
- 류마티스관절염
- 하시모토갑상선염
- 베체씨병, 크론병
- 혈뇨,단백뇨, IgA신장질환
C. 저면역질환
- 만성피로증후군
- 염증성질환
- 대상포진
- 암
- 만성방광염
면역력 증진 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대비해 면역력 증진이 필요한 사람은?
1) 65세 이상 연령대 남, 여 – 면역노화가 있는 사람
2)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 – 고혈압,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신장질환, 비만
3)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
– 잦은 감기, 오래가는 감기, 중이염, 부비동염
– 만성피로, 구내염, 대상포진
– 불면증, 과로
– 위산저하, 소장내세균과다증식, 장내미생물불균형, 장누수증후군
– 중금속중독, 외인성독성물질 중독(잔류성유기오염물질, 과불소화합물, 중금속, 플루오르화 화합물 등)
– 각종 암
면역노화… 대한 기능의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 정성수교수ㅠ
나이가 들면 다음과 같이 면역 체계의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면역 체계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별하는 능력(즉 외부 항원을 식별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가면역 질환이 더 자주 나타납니다.
대식세포(세균과 기타 외부 세포를 삼키는 세포)가 세균, 암세포 및 기타 항원을 보다 천천히 파괴합니다. 이렇게 면역 체계가 둔화되는 것이 노인에게서 암이 빈발하는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T 세포(과거에 접했던 항원을 기억하는 세포)가 항원에 덜 신속하게 반응합니다.
새로운 항원에 반응할 수 있는 백혈구의 수가 줄어듭니다. 그러므로 노인이 새로운 항원을 접하면 인체가 그것을 기억하여 방어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노인에게는 보체 단백질이 더 적고 젊은 사람들이 세균 감염에 반응할 때만큼 많은 보체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면역 기능의 변화 때문에 노인이 일부 감염과 암에 보다 취약할 수 있습니다.
3차(부스터)접종 대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의 범위 |
면역저하자의 범위
1. 진단명
∘ 급만성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환자, 골수섬유화증, 비호지킨림프종(B세포) 환자 ∘ 고형암 ∘ 고형장기이식환자 ∘ 겸상구빈혈 또는 헤모글로빈증, 지중해빈혈증 ∘ 일차(선천)면역결핍증 환자(항체결핍, DiGeorge syndrome, Wiskott-Aldrich syndrome 등)
2. 질환 상태
∘ 조혈모세포이식 후 2년 이내인 환자 또는 이식 2년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억제제를 치료하는 경우 ∘ 자가면역 또는 자가염증성 류마티스 환자 1) 항류마티스 약물(Disease modifying anti-rhumatic drugs, DMARDs)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2) 과거 심각한 감염의 병력이 있었던 환자 3) 단, 질병의 활성도나 환자의 상태, 치료 중인 약물에 따라서 접종 일정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접종 전 류마티스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HIV 감염 환자(CD4+ T 세포수 200/uL미만) ∘ 비장절제 또는 기능적 무비증
3. 면역억제치료 중
∘ 고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20mg 이상의 용량으로 2주 이상 처방받은 자) ∘ 알킬화제 (alkylating agents) ∘길항물질 (antimetablites) ∘ 이식 관련 면역억제제 (transplant-related immunosuppressive drugs) ∘ 암 화학요법제 (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 ∘ 종양 괴사(TNF) 차단제 (tumor-necrosis (TNF) blockers) ∘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조절제인 기타 생물학적 제제 (biologic agents)
* 진단명 등 병력과 접종력이 확인된 경우 사전 안내,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의사소견으로 접종 가능 |
기저질환자의 범위
구분 | 주요질환(안) |
내분비 장애 | 당뇨, 뇌하수체기능이상, 부신질환 |
심혈관 질환 | 심부전, 심근염, 심근경색, 만성류마티스성심장질환, 판막질환, 고혈압 |
만성 신장 질환 | 만성신부전, 사구체질환 |
만성 호흡기 질환 | 폐기종,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확장증, 천식, 진폐증, 기타간질성폐질환 |
신경계 질환 | 파킨슨병, 치매, 뇌성마비, 다계통위축증, 척수손상, 간질, 중추신경계탈수초질환 |
소화기 질환 | 간경변, 만성B형간염, 낭포성섬유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