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세포, 후성유전

암 대사치료

암발생이 핵유전체의 변이에 의해서 일어난다는 ‘유전자 발암설’이 현대의학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표적치료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치료는 비전이성암의 관리에는 도움이 되지만, 진행된 전이성암의 장기적 조절에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암에 대한 최근의 추가된 관점은 암은 대사질환이다라는 ‘대사성 발암설’입니다.
또한 암발생에 있어서 세포내부 문제만이 아닌 세포를 둘러싼 미세환경의 중요성도 강조됩니다.
특히 만성염증에 의한 세포주변 환경의 손상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은 식이나 생활습관의 교정이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을 암시합니다

보스턴대 세이프리드 박사의 암에 대한 새로운 정의 ; 암은 대사질환이다..   

1)  암은 대사질환으로 발효가 세포호흡을 대체한다
2) 암세포는 포도당과 글루타민을 발효해서 에너지를 얻는다
3) 정상세포는 포도당 대신 케톤체를 연료로 쓸 수 있지만 암세포는 아니다
4) 암세포는 다량의 활성산소(ROS)를 만든다
5) 암세포의 유전자 변이는 세포의 대사작용이 망가진 결과이지 원인이 아니다
6) 돌연변이 때문에 암세포는 에너지 스트레스에 취약하다
7) 암세포의 전이는 글루타민 중독성 암-대식세포 복합체가 일으킨다
8) 프레스 & 펄스 전략으로 부작용 없이 암을 관리하고 치료할 수 있다

암을 굶기는 치료법과 자세

1. 운동, 식사, 영양치료제, off label을 이용하여 암을 굶긴다
2. 섭취해야 할 영양치료제 ; 비타민 A B D K Mg 강황 오메가 3/6, 베르베린등

3.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약제를 pulse로 사용하라 ; statin 등
4. 항상 미리 행동하여 예방을 하라
5. 당신이 가지고 있는 암의 주된 대사 형태를 파악하라
6. 당신이 가지고 있는 암의 유전자 변화를 알아야 한다
7. 당신의 질병에 알맞은 혈액검사/ 종양 표시자 등을 규칙적으로 하다
8. 기능의학 , 통합 종양학을 공부하고 경험이 많은 의사를 만나다
9. 다른 치료를 병행하라; 고주파, 광에너지 등
10. 면역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11 최소 1주일에 3회 이상은 고용량의 비타민c 정맥주사를 맞아라..
12. 스트레스를 피하거라
13. 스스로 공부해야 한다
14. 조직화하여 생활하자
15. 당신의 직관에 귀를 기울여라
16. 항상 열려있는 자세를 유지하라

1. 마음이 치유의 시작이자, 완성입니다.
믿음 ; 건강의 가장 큰 요소는 정신적 부분입니다.
소망 ; 치유를 위한 마음가짐
주기도문 筆寫, 108배, 힐링코드 (Healing code), EFT (기적의 두드림), 귓전명상

2. 습관이 바뀌어야, 몸이 바뀝니다.
햇빛속에 걷기, yoga
숨 쉬세요 ; 깊은 호흡 (복식, 478, 丹田 )
잠을 잘 자야 면역이 살아납니다 ; 수면 명상(Nidra), 멜라토닌
해독 ; 커피 관장, 간헐적 단식 (저녁 8시 이후, 12시간),치아 아말감제거.
체온 ; 반신욕 , 풍욕

3. 음식이 약입니다
좋은 음식
물 하루 8잔(중수소감소물(Deuterium-Depleted Water) Original Quinton Isotonic) 竹鹽 5g
소화 효소 ,사과 식초(Bragg Organic Raw Apple Cider Vinegar), 보이차
버드윅 식단(Budwig diet), 해독 쥬스 (Biotta juice),
낫또 (K2),대구간유(cod liver oil), 오메가 (대마씨,아마씨,생들깨)
나쁜 음식 ; 3白(쌀밥, 밀가루, 설탕)

4. 세포 대사 치료
비타민 주사 효과 증폭
1. 비타민 C (장내 용량; 설사하기 직전)
2. 식물성 유기황 (MSM ; 5 ~ 12g)
3. 지용성 비타민 (K 500 ug, D 5,000 IU, A 5,000 IU)

4. 유산균
5. Selenium, 알파리포익산( Selenium 100 mcg, Milk Thistle 262.5 mg,Lipoic Acid 200 mg,NAC 200 mg)
암의 재발 & 전이 억제
glutathion, 코큐텐, 오메가 3, 비타민 B 群, NADH (www.humanheartcosmicheart.com or nicotinamide) 멜라토닌 1정 저녁, DCA(www.dcalab.com)333mg (1-3일:아침,저녁1정씩/4일:아침,점심,저녁1정씩)
Metformin(처방약, 2T #2), CBD 10-20환/日 (암성 통증, 구역 & 구토, 액악질) 항암 및 방사선치료 부작용 : Graviola 4 – 6 cap #2
21일 해독 프로그램 ; 기생충 청소, 간 청소, 신장 청소, MOPA GB 4000
면역증강프로그램 : 면역조절제 + Photon Genius + 뇌척수로운동

5. 면역 회복 치료
고농도 비타민 C 주사 ; 비타민 C 용량 ____ gram , 주 2회 , 기본 6개월.
항암 부작용 회복 ,방사선 치료와 병행
비타민 주사 효과의 증폭 ; 알파리포익 산, L-carnitin
간 해독, 혈액 순환 ; glutathion,혈액순환(B5,6,12),SAMe,미네랄,Arginine
NK 세포 촉진 주사 ; 싸이모신 알파, 겨우살이

암 대사치료시 주의사항

암 대사치료 주의사항

 

  • 일주일에 최소2 회 이상 공복혈당과 식후2 시간 혈당을 측정한다 .

– 공복혈당의 목표 수치는 70 대이다 . 60 대로 나오면 더욱 좋다 .

– 단 , 당뇨환자는 저혈당의 위험이 있어서 의사선생님과 상담하여 별도로 진행한다 .

– 비타민 C 고용량 정맥주사를 투여 받는 환자의 경우 , 주 3 회 주사를 맞는 다면 월수금 , 화목토처럼 하루정도 간격을 띄워서 투여 받는 것이 대사치료에는 더욱 유용하다 .

– 비타민 C 정맥주사를 투여 받은 다음날 아침에도 비타민 C가 혈당측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 반드시 비타민 C 주사를 투여 받지 않은 다음날  공복혈 당을 측정하도록 한다 .

 

  • 공복혈당이70 대는 유지가 되어야 암대사치료 약물들이 암을 효과적으로 굶길 수 있기 때문에 식이요법 (특히 저녁에 쌀밥 적게 먹고 간식 안먹기 )과 저녁식후 운동으로 혈당을 소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 혈당은 2회/주,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체크하기 위해 2주에 1번씩 일반혈액검사(백혈구) 및 간기능검사를 실시한다..   
  • 주2 회 정도 저녁을 먹지 않는 간헐적 단식이나 저녁식사에 탄수화물을먹지 않고 채소와 간단한 단백질 (생선 한토막 정도 )만 먹는 습관도 많은 도움이 된다 .
  • 대사약물은 셋팅이 된 후 , 주1 회 정도는 복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

체내에 쌓인 약물의 배설에 도움이 된다 .

  • 대사치료중 미식거림, 구역질이 나타나면 생강차를 마시거나 대사약물복용을 1회 정도 건너 뛴다..
  • 항암제를 투여 받는 환자는1 일전부터 대사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

   항암제 종료시점에서 24시간 이후부터 대사약물을 다시 복용한다.

  • CT 검사가 예정된 환자는2 일전부터 대사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

  CT검사 종료시점에서 24시간 이후부터 대사약물을 다시 복용한다

  • 수술이 예정된 환자는 항혈전제 (디피리다몰 , 아스피린 등 )를5 일전부터 복용하지 않는다 .

*  날트록손 ; 트라마돌 코데인 주의

  • 대사치료 시작후 2-3개월이 가장 힘들다. 이때까지 체중감소가 어느정도 있으나 이 기간이 지나면 체중이 유지된다..

역와버그 효과와 PKM2

역와버그효과와 PKM2

 

정상세포는 산소가 풍부하니 당연히 산소대사(산화적 인산화, 36 ATP 배출)를 했고 그 결과 내놓은 젖산농도가 낮았지만암세포는 산소가 넘치는 환경에도 불구하고 굳이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발효대사(해당작용 혹은 기질 수준 인산화, 2 ATP만을 배출)를 하였고 그 결과 젖산이 많아졌던 것입니다.

와버그는 이 결과를 보고 암세포의 호흡(respiration)즉 미토콘드리아 레벨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이 일어났을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시드니 와인하우스에 의해 그 비밀이 미토콘드리아가 아닌 유전자에 있음이 후일 밝혀졌습니다.

그 유전자가 바로 PKM유전자입니다.

역 와버그 효과가 의미하는 바는우리는 종양의 씨앗을 없애려고 그간 수술항암방사선 등으로 온갖 노력을 해왔지만씨앗만 없애고 토양을종양 주위 미세환경을 돌보지 않으면 씨앗이 없어지기는커녕 더 커지거나 번지게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PKM2 PKM1으로 바꾸는 스위치는 어떻게 켜는 걸까요?

PKM2를 PKM1으로 바꾸는 스위치는 miR-124와 miR-133b라는 마이크로RNA입니다

첫째는 암세포 주위의 미세환경에 산소를 많이 공급하면 됩니다종양미세환경의 pH가 높아지면 자연히 PKM1의 활성이 높아지니까요그래서 암세포 주위에 가성소다를 넣어주는 치료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병원에서 받을 수 있는 비타민C 요법이 그 효과가 더 좋습니다. 

둘째는 운동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눈치 채셨겠지만 PKM의 M은 muscle이라 했습니다근육세포가 이 암세포가 쓰는 경로를 함께 쓰는 것입니다근육세포와 암세포가 포도당을 두고 경쟁을 하겠죠. 운동을 많이 해서 근육이 늘어나면 암세포가 먹을 포도당을 근육이 먼저 먹어치워서 암세포는 굶습니다. 

셋째는 음식치유입니다포도당 자체를 줄이셔야 합니다그래서 대사치료에서도 metformin으로 혈당을 낮추려고 하는 것이죠하지만 무턱대고 혈당을 낮추면 종양미세환경에 포도당이 적어지니 암세포도 굶겠지만 우리 몸도 굶게 됩니다암세포는 성장과 증식이 빠르다 보니 적응(adaptation)도 빠릅니다설탕을 줄였어그럼 지방을 쓰지 뭐지방을 줄여그럼 또 다른 걸 쓰지 뭐하는 식으로 계속 회피하며 진화합니다그 빠른 속도를 따라갈 수 없으므로 타격을 입는 것은 결국 정상세포입니다특히 뇌세포는 포도당 말고는 다른 영양분을 사용할 수가 없으니 치매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차전자옥수수수염마치현 등의 이뇨성분이 많은 한약재들은 칼륨과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고이들미네랄이 몸에 들어오면 인체의 pH를 높이게 됩니다.

 

암세포는 에너지가 필요할 때는 PKM2 4개를 결합하여 ATP생산 시스템을 가동하고, 증식이 필요할 때는 PKM2가 두개를 결합시켜 새로운 새로운 암세포를 만드는데 필요한 원료(핵산, 인지질, 아미노산)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1. 암세포의 키 마스터 PKM2 

PKM2가 암대사에 있어서 호기성해당과정의 핵심조절자 역할을 한다..  

  • PKM2의 발현과 낮은 효소 활성은 암세포에 해당 표현형을 부여하여 빠른 에너지 생산과 해당 중간체의 부수적 경로로의 흐름을 촉진하여 활성 산소 종의 축적 없이 핵산, 아미노산 및 지질을 합성하여 암성장을 촉진한다
  • 암줄기세포에서 활성화된다
  •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하여 암줄기세포로 만들고 유지하도록 돕는다 – 베타카테닌경로, STAT3경로, HIF경로를 활성화시킨다

 

PKM2의 비당분해 기능의 억제는 Mek5 , c-Myc 및 다양한 HIF-1 표적 유전자와 같은 암 관련 유전자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PKM2 활성은 전사, 단백질 및 대사 수준에서 긴밀한 조절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됩니다. 

(a) EGFR 활성화 시 병렬 신호 전달 경로는 c-MYC 및 HIF1a의 전사를 시작합니다. PKM2는 전사 표적이자 전사 보조 활성화제이기 때문에 정방향 제어와 병행하여 신호를 시작하고 증폭합니다. 

(b) 번역 후 변형은 단백질 키나제 활성을 갖는 대사 활성 사량체(PKM2)4와 전사 활성 이량체(PKM2)2 사이의 평형을 제어합니다. 핵에서 PKM2는 자신을 포함하는 해당 유전자의 공동 활성제 역할을 합니다. 이것은 신호를 더욱 증폭시킵니다. 

(c) 피드백 메커니즘의 네트워크는 섭동에 대해 강력한 대사 표현형을 제공합니다.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피드백 제어의 조합은 PKM2를 말단 마스터 레귤레이터로 사용하는 해당 경로를 통한 안정적인 플럭스를 보장합니다

 
 

ⓐ  저탄수화물 식이, 글루 타민 절제하는 케톤식이를 하거나

ⓑ 탄수화물을 최소로 섭취하면서 커큐민(강황), 레스베라트롤, EGCG(녹차추출물)을  병용하는 것입니다..

정상세포는 PKM1경로를 이용하고   암세포는 PKM2 경로를 선호하는 특성을 활용하면 케톤식이와 같은 극단적인 제한 식이를 선택하기 않고도 암세포 증식을 차단할 수 있다  
 

젖산 줄이는 대사치료 -암세포가 사용하는 포도당 운송경로인 PKM2(pyruvate kinase M2)를 차단하는 커큐민(강황), 레스베라트롤, EGCG(녹차추출물)을  병용하는 것입니다..

ⓒ 스트레스(정신적스트레스, 감염 등)도 PKM2 경로를 활성화하여 암세포증식이 왕성해진다.  그러므로 식사전 명상, 음악감상도 도움이되고, 식사시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식사를 하면 PKM1이 활성화 될 것이다

ⓓ 뷰티레이트(bytyrate), 시코닌  –  장내 프로바이틱스 생산 >> PKM2 발현 감소

혈관내피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혈관내피의 글리코캘릭스의 1차 방어막이 손상되면 내피세포/미토콘드리아가 독소, 염증, 활성산소 등에 손상되어 투과성이 증가되어 동맥경화가 진행된다  

암 대사치료

통합기능의학적인 암의 자연치유


암도 통합기능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만성질환, 대사성질환, 전신질환에서 발전된 형태로 이들 질환과 마찬가지로 원인을 찾아 해결해줌으로써 자연치유가 가능합니다.

예전에는 암 치료란 것이 수술항암방사선치료최근의 표적면역치료와 막연한 민간요법 등이 전부였습니다.

현재 암 치료를 주도하고 있는 유전자변이 치료만으로는 실패한다.

유전자변이비정상세포신호비정상 세포대사비정상 성장인자비정상 면역체계비정상 세포분화를 동시에 치료해야만 확실한 해답을 찾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면역력와 자연치유력의 회복이야 말고 최종적인 암 완치의 길이다

이제는 통합기능의학적인 방법으로 정확한 진단과 원인 탐색부터영양생활습관생활환경스트레스 등의 과학적 교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해결하며또한 대사치료(암 굶겨죽이기)도 가미하여 질병을 완치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면역력을 포함함 7가지 자연치유력을 복구하여 최종적인 완치를 도울 수 있습니다.

 

THE McLelland Moonshot 맥클러렌의 획기적인 치료법  
 
현재 암 치료를 주도하고 있는 유전자변이 치료만으로는 실패한다.
유전자, 대사작용, 세포신호를 동시에 치료해야만 확실한 해답을 찾을 것이다..  
 
여기에 추가할 4번째 것은 암 발생의 주 원인 중의 하나가 나의 면역력의 감소다..  
면역력와 자연치유력의 회복이야 말고 최종적인 암 완치의 길이다… 

암의 대사치료/암세포 굶겨죽이기(Press & Pulse) 전략

1.  세포의 잘못된 신호를 중단시켜라(Hedgehog, Wnt, Notch, PPARr, 염증)

2. 암을 굶겨라 메트로맵 참고

암의 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차단에 집중투자하는 전략을 선택,, glycolysis & OXPHOS

3. 암의 전이를 막아라 암성장인자와 MMPs차단,, 당화손상을 복구)

4. 완전히 사멸하라(caspase cascade, 산소공급으로 자연스럽게 세포자멸유도저용량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도 사용)

5. 회복하고 재발을 막아라 –  해독과 면역계와 손상 받은 미토콘드리아를 회복시켜라. 

  • 면역력과 7코어 자연치유시스템을 복구하라..

암세포는 항상 굶주려 있으며암세포의 엄청난 식탐으로 지속해서 증식하여야 하므로 항상 많은 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한다.

암세포는 많은 양의 포도당을 흡수하기 위해 암세포벽에 존재하는 포도당 출입문(GLUT)의 숫자가 증가되어 있습니다

이 문을 통해서 암세포는 포도당과 구조가 비슷한 비슷한 비타민C가 많이 흡수되어 포도당의 양이 줄어 암세포가 굶게되는 것입니다.

1. 암줄기세포 치료하기

1. 세포의 잘못된 신호를 중단시켜라..  암줄기세포 신호..  

1)  암대사약물로 암 줄기세포 치료하기 

2) 비독성 천연물로 암줄기세포 치료하기 

2) 암 줄기세포 자연치유법- 유전자분화요법

2_1. 약물을 이용한 대사치료/암세포 굶겨죽이기

1. 암세포 에너지 차단 전략

 

2. COC 기본 프로토콜  ① ~ ④

① 스타틴 – 암에서 메발론과 콜레스테롤 고갈, GLUT1억제, Aptosis증가

② 메포민 ; 암줄기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수송사슬의 복합체1억제 >> 암줄기세포 억제, MT대사억제, MTOR억제

    • 비타민K3 ; 췌장암에서 메포민 내성시 사용

③ 메벤다졸 ; 암 Aptosis(사멸)유도, 암세포 성장과 이동 방해

④ 독시사이클린 ; 암세포의 고도로 활성화된 미토콘드리아 (OXPHOS, 지방산화, 고대 단세포세균)을 깨부슨다.

    • 일단 암을 굶긴후 킬러(비타민C, 에토돌락+로바스타틴) 투입
    • 에토돌락 –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COX2과정을 억제
      디피리다몰 – 핵산을 고갈하여 암 복제 막는다
    • 프로르라노롤 ; VEGF 막아 암의 신생혈관생성 억제 MMP2, 9 막아 ECM의 붕괴 막아 암의 전이 막는다
    • 클로르퀸/이미프라민 ; macropinocytosis 억제 , 암세포 오토파지억제(죽어가는 세포가 재활용하여 생존과 번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

* 오토파지 ; 

    • Macropinocytosis 항진암 ; 췌장암, HER2유방암, 삼중음성유방암
    • 시메티딘 ; 수술시 Ts 이 증가 하여 T-림프구 억제하는데 이걸 방어 Th1>Th2
      혈관 내벽에 있는 E-selectin 접착분자의 활동을 방해하여 암 전이 차단  
      미분화골수세포(MDSC)억제하여 면역세포의 능력 증진 
    • MCP(Modified citrus pectin) – 암세포 표면읭 접착분자에 mcp가 결합 – 암세포가 혈관벽에 착륙할 수 없어 전이 차단
      ; 앰브로토스
    • LDN ; 저용량 수용체 약 6시간 억제, 암성장억제,, 췌장암 3중음성 유방암, 간암에 효과
      마약성 진통제 복용중은 금기 >> 세레브렉스로 2주간 사용으로 테이퍼링후 사용
      저녁에 먹기,, 수면장애시 아침에
      25mg >> 6등분
    • CBD 오일 
    • MYC GENE 과발현암 ; 글루타민에 의해서 증식이 촉진되므로 식단에서 단백질을 빼고 채식위주의 식단으로 해야 … k2가 억제한다
    • 지방산 산화 증가 암 ; Myc가 과도하게 발현된 삼중음성유방암, PC3전립선암, 미만성 거대B세포 림프종, 버킷림프종, 교모세포종
    • 악성흑색종, 전립선암, Braf-유도암은 지방과 글루타민에 의존하므로 케토제닉식이는 피해야한다..
    • MTOR 억제제 ; 이트라코나졸, 메포민, 베르베린
    • 2-DG  암세포 해당과정 HK억제
    • DCA ; 암세포 해당과정 LDH억제하여 젖산 생성 방해

암과 비타민 & 미네랄

암과 비타민 k2 특히 알콜성 간암 https://youtu.be/6jwUMdqKq3o

비타민k2부족시 피브카2 유전자변이 온다.
알콜성 간염, 간경화에 암오기전에 먹자
전립선암, 유방암, 간암
낫또 치즈 계란노른자 +

 

Vit D/나가라제  – 브라보요거트

Vit D결합 단백질 유래 대식세포활성화 인자를 이용한 전이성 대장암 면역요법

NADPH

1. 세포분열시 사용 – 리보스당, 핵산원료 생성시 필요, 콜레스테롤/스테로이드 생성시, 지방산생성시 필요
2. 해독시 CYT 450이 돌아갈 때 필요
3. NO합성시 필요 NADPH없으면 NO대신에 활성산소 만들어진다
4. 면역세포안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죽일때 NADPH가 있어야 활성산소 만들어 쓸 수 있다
5. 산화된 GSH를 환원시킬때 필요
– 항암시 사용하는 암세포를 다시 살리게 됨… 양날의 칼이다
– 항암 부작용으로 손발이 저리거나 너무 독성이 강해서 항암치료 자체로 환자가 죽게 생겼다면 응급조치로 사용할 수 있다.

VIT K2 inactivation of oncogene MYC gene + 면역력 복구

1. 심혈관계질환 예방: 네덜란드에서 55세 이상의 성인 4,800명을 대상으로 한 로테르담 연 구에 따르면, 매일 비타민K2를 32.7mcg 이상 섭취 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대동맥 석회화 의 위험도가 52% 감소,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가 41% 감소, 관상 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 망률이 51% 감소하였고, 전체 사망률을 26% 감소하였습니다. ※비타민K1(필로퀴논)은 심혈 관계질홖에 어떠한 예방효과도 나타내지 않았습니다.1
“비타민K2는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심지어 동맥경화증을 제거해주는 유일하고도 가장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 힐락의원 이영철원장님
2. 혈관 및 연조직 석회화 억제: MK-7은 가장 강력한 혈관 석회화 억제인자로 알려짂 MGP(Matrix Gla protein)를 홗성화시킴으로써 칼슘이 혈관 또는 연조직에 침착하는 것을 억 제합니다.2 비홗성형의 MGP(dp-ucMGP)는 비타민K 결핍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
며, dp-ucMGP의 증가는 동맥 강직, 대동맥 석회화, 관상 동맥 질홖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 졌습니다.3 MK-7의 섭취는 dp-ucMGP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줍니다.4
3. 뼈 형성 증짂 및 골다공증 예방: 오스테오칼싞은 뼈에 칼슘 침착을 증가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해주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으며, 홗성형 오스테오칼싞과 비홗성형 오스테오칼싞의 비율 (cOC/ucOC)은 뼈의 대사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타민K2 결핍은 비홗성형 의 오스테오칼싞(un-OC)을 증가시키며, 혈액 내 un-OC은 비타민K 결핍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혈액 내 un-OC의 농도는 골다공증과 골젃의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로 사용되고 있습니다.5 2015년에 보고된 논문에 따르면, 매일 100mcg의 MK-7 섭취는, 오
스테오칼싞을 홗성화시키고 cOC/unOC의 비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줍니다.6
4. 치아 건강 증짂 및 충치 예방: 태아기 및 유년 시젃의 MK-7의 보충은 악궁을 적젃히 발달 시켜 치열을 고르게 합니다. 또한 치아의 덴틴에 존재하는 오스테오칼싞을 홗성화시켜 충치를 예방하고 치료해줍니다.7
5. 알츠하이머 및 뇌질환 예방: 알츠하이머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알츠하이머 초기에 골다공증의 발생이 증가하고 알츠하이머 홖자들은 보통의 사람들보다 비타민K2 섭취 량이 적고, 좀 더 심한 비타민K2 결핍증을 나타낸다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8 또한, 알츠하이
머 질홖의 발생에는 산화스트레스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K2는 뇌세포에서 젂자를 제공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홗성 산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뇌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9 비타민K2는 이미 생성된 홗성
산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뇌에서 lipooxygenase의 홗성을 저해하여 아라키돆산에 의한 홗 성산소(ROS)의 생성을 억제해 줍니다.10
6. 당뇨병: 조골세포(Osteoblast)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는 오스테오칼싞은 췌장에서 인슐린의 분비를 촉짂하고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켜 당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습니다.11 정 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4주간의 비타민K2 보충은 혈중 cOC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인슐린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12

7. 암: 비타민K2는 많은 종류의 암세포에서 세포 주기를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암치 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비타민K2에 의해 세포 사멸이 유도되는 암세포 라인13>

① 백혈병: 비타민K2는 모든 종류의 백혈병 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백혈구를 자체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K2 단독사용보다 비타민A와 함께 사용할 때 암세포 사멸효과가 더욱 증가하며,14비타민D와 함께 사용할 때, 상승효
과를 나타냅니다.15
② 난소암: 비타민K2는 난소암 세포에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③ 간암: 비타민K2는 간염이 있는 여성의 간암 발생을 예방해줍니다.16 또한, 비타민K2는
PKA(Protein Kinase A)를 홗성화시킴으로써 간암 세포의 침윤(Invasion)과 성장을 억제 합니다.17
④ 췌장암: 비타민K2는 췌장암 세포에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⑤ 위암: 비타민K2는 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18
⑥ 전립선암: ucOC 검사 결과, 말기의 고도로 분화된 젂립선암은 ucOC/cOC의 비율이 높 았으며, 비타민K2 결핍은 젂립선암의 발생 위험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말기로 짂행하는 젂립선암과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습니다.19

.

암 - Sodium bicarbonate를 이용한 자연 치유

암 산성환경 치료법 

 

  • SB는 알칼리 충격파로 암을 공격하고 이것이 암세포가 견딜 수 없을 만큼의 많은 산소를 공급해 암을 사멸할 것이다

Sodium bicarbonate 항암 요법

SB 1티스푼 + 1BSM(black trap mollasses=marple syrup 3:1 honey) or Lemon or Apple cider vinger+물 240cc

  • 11일 요법 

 

감기 독감시 사용법

첫날  1/2 티스푼 + 찬물 1컵  2시간 간격 6회

둘째날, /2 티스푼 + 찬물 1컵  2시간 간격 4회

셋째날, /2 티스푼 + 찬물 1컵  2시간 간격 2회

넷째날 이후 ;  매일 아침에 1회 

통증 

0.5티스푼+ 물 120cc  2시간마다 7회  

60세 이상은 하루에 3번까지 가능 

2주 이상 사용 금지(가능하면 공복시 복용)

2_2. 천연물질을 이용한 대사치료/암세포 굶겨죽이기

• 버버린

– 비정상 신호 차단(Sonic Hedge Hog, EGFR, PPAR gamma)
– 대사경로 차단(Insulin, OXPHOS, Glutamine OXPHOS, mTOR, SREBP1, Fatty Acid Sythesis)
– 암세포 자살(NK 세포 증강, apoptosis 유도)

– 버메린 ; HER2, PI3K, Ras-Raf경로를 동시에 차단 가능
ID(inhibition of differentiona gene)을 억제하여 보다 분화되면 성장이 느려진다..(3중음성암을 분화)

• 커큐민, EGCG


– 비정상 신호 차단(EGFR)
– 대사경로 차단(Glutaminolysis)
– 암세포 자살(apoptosis 유도)
– 조병식tv 구충제의 한계와 대안 https://youtu.be/EFUCqyW5O9Q

• EGCG ; 암억제유전자의 메칠화를 억제하고 암 억제유전자의 기능을 높인다

• 케르세틴

– 비정상 신호 차단(Notch)
– 대사경로 차단(Glut1)
– 비정상 성장인자 차단(VEGF)

• 루테올린

– 비정상 신호 차단(Notch)
– 대사경로 차단(SREBP2)
– 비정상 성장인자 차단(VEGF)
– 암세포 자살(apoptosis 유도)

• 레스베라트롤

– 대사경로 차단(Glutaminolysis)
– 암세포 자살(apoptosis 유도)
– COX2억제제

해조류(푸코스, 갈락토스) 프리바이오틱스/앰브로토스가 발효시 생성되는 뷰티릭산은 삼중음성유방암에 사용
뷰티릭산 ; 동충하초 ; 자연살상세포 활성화

NK세포 활성화

– 구름버섯추출물, 마늘, 글루타민, AHCC, 락토페린

•  멜라토닌 

여기에 에스트로겐이 관여하는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폐암 등에는 에스트로겐 차단 목적으로 멜라토닌을 추천합니다….

멜라토닌 20-40mg/일 (써카딘 서방정 2mg/멜라토닌)

• 하이드록시 시트레이트

그리고 지방산 대사가 활발한 삼중음성유방암, 전립선암, 흑색종 등에는 하이드록시 시트레이트를 추가하시구요.

3. 암의 전이를 막아라(암 성장인자와 MMPs차단, 당화장애 복구)

암증식 경로 억제제

1. YAP경로 억제 ; 애피제닌, 폴리페놀계(금은화, 파슬리, 권백) 고시풀(면화자 목화씨) 커큐민
2. 염증경로 (COX2, PGE2), NF-kb경로, IL6 면역기능억제(조절T림파구를 늘린다) >> 황금의 바이카린, 강황의 커큐민, 청피
3. NF-kb STAT 경로 억제해야 한다
항암제 사용하면 NF-kb STAT 경로 통해 암줄기세포 증식한다,,,, 알로애의 에모딘, 자근의 시쿼닌
4. 철분 킬레이션 ; 강황의 커큐민, 엉컹튀의 실리빈
5. mIRNA128(암줄기세포를 억제하는 miRNA)활성화 ;

암전이억제하는 물질

1. 떨어져 나온 암세포를 안죽게하는 것 – 활성산소 >>> 항산화물질 Se Zn 녹즙
2, 혈관벽을 못 뚫게 ; 떫은 맛 타닌 ; 알로에, 선학초, 오베사
3. 순찰병 대식세포 기능 면역기능 증강 >> 쓴 음식(양념, 후추, 고추)
4. 신생혈관 못 만들계 >> 아바스틴(대장암 20%효과, 간암/폐암 10%효과, 연장효과 2.8개월, 비용은 3백만/달), 넥사바 표적치료제 >>> 알로에 에모딘


기생충의 암 발생 기전

1. 기생충이 아르기나제 분비 >> 아르기닌 감소 >> CTL감소 >> TH2(교감신경)항진 >> TH1(부교감신경)억제 >> 암 증식
2. 아르기나제 활성화 >> NO생성촉진? 감소 , 폴리아민생성 >> Lin28활성화 >> Let7억제 >> 암줄기세포 생성

3, 암환자 ; 1년에 2번 구충제 먹기
진세노사이드(홍삼, 흑삼) >> 아르기나제 억제
RH2/흑삼가 miRNA128을 활성화 >> 8개의 암줄기세포 유전자(BMI1, Lin28A, MMP9, CSP-1, NANOG, KLF4, ITGA2, ITGA5) 억제

4. 암세포 완전 사멸하기 - 산소치료, 저용량 방사선치료

5. 회복하고 재발을 막아라

COC 프로토콜 약물 참조
암세포에 대한 영양소(예: 포도당, 지방 및 글루타민)의 가용성 감소 메트포르민,
스타틴
메트포르민(Rosilio et al., 2014; Saladini et al., 2019)
스타틴(Babcook et al., 2016)
항암 면역 반응을 촉진하고 촉진합니다. 스타틴,
메벤다졸,
메트포르민,
독시사이클린
스타틴(Al Dujaily et al., 2020; Al-Husein et al., 2018; Yongjun et al., 2013)
메벤다졸(Blom et al., 2017; Guerini et al., 2019)
메트포르민(Bahrambeigi 및 Shafiei-Irane 2019; Eikawa et al., 2015; Kurelac et al., 2019; Pereira et al., 2018)
Doxycycline (Lucero-Diaz et al., 2016; Tang et al., 2013, 2017)
암세포를 ‘대사 스트레스’에 놓입니다. 메트포르민,
스타틴,
독시사이클린
메트포르민 검토(Pernicova and Korbonits, 2014; Troncone et al., 2017)
Statin(Clendening and Penn, 2012; Huang et al., 2020; McGregor et al., 2020; Urbano et al., 2017)
Doxycocycline et al., 2017; Petővári et al., 2018; Tan et al., 2017)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조절 독시사이클린,
메트포르민
독시사이클린(Lamb et al., 2015a; Ozsvari et al., 2017)
Metformin 검토(Cazzaniga and Bonanni, 2015)
암세포의 성장과 이동을 방해 메트포르민,
스타틴,
메벤다졸,
독시사이클린
스타틴은 (Altwairgi 2015)에서 검토
(. 채 등 2016; 장 등, 2014;.. 젤리 거 등 2016) 메트포르민이 검토
Mebendazole (Mukhopadhyay 등., 2002 콕 등, 2015).
독시사이클린 (Fife and Sledge, 1995; Wang et al., 2015; Yang et al., 2015)
프로그램된 암세포 사멸 유도(아폽토시스) 메트포르민,
스타틴,
메벤다졸,
독시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Fife et al., 1998; Onoda et al., 2006; Son et al., 2009; Song et al., 2014)
메벤다졸(Doudican et al., 2008; Mukhopadhyay et al., 2002; Sasaki et al. , 2002)
스타틴(Bayat et al., 2016; Cafforio et al., 2005; Fromigué et al., 2006)
메트포르민(Gu et al., 2015; Kalinsky et al., 2017; Kumar et al., Yousef1) 및 Tsani, 2017)
암세포 DNA 손상 복구 차단 독시사이클린,
메벤다졸
독시사이클린(Lamb et al., 2015b; Peiris-Pages et al., 2015)
메벤다졸(Markowitz et al., 2017), (Guerini et al., 2019)에서도 검토됨
종양을 공급하는 혈관의 성장을 느리게 합니다(항혈관신생 활성). 메벤다졸
메트포르민
메벤다졸(Bai et al., 2015), (Guerini et al., 2019)
Metformin(Orecchioni et al., 2015; Qian et al., 2018)에서도 검토됨
암 줄기 세포를 표적으로 삼고 표준 암 치료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음 메트포르민,
스타틴,
독시사이클린
메트포르민(Bao et al., 2014; Brown et al., 2020; Hirsch et al., 2009)
독시사이클린(Lamb et al., 2015a; Lin et al., 2018; Scatena et al., 2018; Yang et al. , 2015)
스타틴(Afzali et al., 2016; Bayat et al., 2016; Kato et al., 2018; Kodach et al., 2011; Li et al., 2017; Peng et al., 2017)

COC프로토콜

Glioblastoma multiforme 교모세포종 

암 식이요법 원칙

  1. 12-18시간 금식(공복)유지,, 간헐적 단식(자가포식유도, 간헐적 폭식 주의) 필요, 야식(과일 포함) 절대 금지
    2. 반드시 들깨 기름(볶지 않은 것) 혹은 아마씨유 큰 숫갈로 한 스푼씩 식사시마다 섭취
    3. 달고, 짜고, 기름진, 매운 음식 금지
    4. 식사 중간에 절대 간식 금지
    5. 가공음식 섭취 절대 금지
    6. 밀가루(곡물), 우유 포함 음식 금지– 글루텐(쌀 외의 잡곡)에 의한 염증반응 금지 위해서

– 현미/흑미 위주 ; 지용성독소 배출에 중요
7. 채식 위주, 유기농으로
8. 제철 채소, 나물 및 음식, 무지개 색깔, 1주에 20가지
9. 맛이 쓴 나물은 항암제다.
10. 과일은 베리 종류만 허용,  하루 50g이내로 제한 ( 식사도중 채소와 함께 )

  1. 단백질은 하루 50g이면 충분하다… 멸치, 뼈채 먹는 작은 생선 항상 먹을 것(칼슘, 오메가-3)
    12. 가지과 식물의 렉틴은 유전적 문제가 있는 경우만 제한,

녹즙은 200cc 2일에 1번은 종류 바꾸어서(판매하는 녹즙은 금지)

  1. 나무 수저 젓가락 사용하기 (니켈-1종발암물질)
  2. 지방감소는 허용하나 근육감소는 안된다..- 저체중 주의

    영양유지가 아주 중요하다… 

과일(과당)섭취와 암  

 

포도당은 전반적인 성장 역할을 선호하는 반면, 과당은 단백질 합성을 강화하고 보다 공격적인 암 표현형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당 섭취는 췌장암, 소장암 및 기타 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과당은 단백질 합성을 강화하고 간접적으로 종양 성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오탄당 인산을 통한 플럭스를 촉진합니다. 과당 치료는 보다 공격적인 암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전이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운동 및 생활습관

  1. 반드시 하루 30-40분 빠른 걸음으로 걷기( 식후 곧바로 최소 20-30분 걷기 ; 공복혈당 70대를 목표로하자) 수술이나 4기 아니면 매일 운동
  2. 파워풀 워킹은 흉식호흡, 복시호흡과 함께, 근육운동을 반드시 시행 – 근육량 유지(초기 체성분분석하기)
  3. 마사지는 림프순환을 증가
  4. 일주일에 최소 한 두번은 찜질, 되도록 저온 찜질(41~43도), 안되면 반식욕으로 대체
  5. 억지로 고함지르며 웃기

암 대사치료 주의사항

  • 일주일에 최소2회이상 공복혈당과 식후 2 시간 혈당을 측정한다 .

– 공복혈당의 목표수치는 70 대이다 . 60 대로 나오면 더욱 좋다 .

– 단 , 당뇨환자는 저혈당의 위험이 있어서 의사선생님과 상담하여 별도로진행한다 .

– 비타민 C 고용량 정맥주사를 투여 받는 환자의 경우 , 주 3 회 주사를 맞는 다면 월수금 , 화목토처럼 하루정도간격을 띄워서 투여 받는 것이 대사치료에는 더욱 유용하다 .

– 비타민 C 정맥주사를 투여 받은 다음날 아침에도 비타민 C가혈당측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 반드시 비타민 C 주사를 투여 받지 않은 다음날  공복혈 당을 측정하도록 한다 .

 

  • 공복혈당이70 대는유지가 되어야 암대사치료 약물들이 암을 효과적으로 굶길 수 있기 때문에 식이요법 (특히 저녁에쌀밥 적게 먹고 간식 안먹기 )과 저녁식후 운동으로 혈당을 소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혈당은 2회/주,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체크하기 위해 2주에 1번씩 일반혈액검사(백혈구) 및 간기능검사를 실시한다..   

  • 주2회 정도 저녁을 먹지 않는 간헐적 단식이나 저녁식사에 탄수화물을 먹지 않고 채소와 간단한 단백질 (생선 한토막 정도 )만 먹는 습관도 많은 도움이 된다 .
  • 대사약물은 셋팅이 된 후, 주1 회 정도는 복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

체내에 쌓인 약물의 배설에 도움이 된다 .

대사치료중 미식거림, 구역질이 나타나면 생강차를 마시거나 대사약물복용을 1회 정도 건너뛴다.. 

  • 항암제를 투여 받는 환자는1일전부터 대사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

   항암제 종료시점에서24시간 이후부터 대사약물을 다시 복용한다.

  • CT 검사가예정된 환자는2 일전부터 대사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 .

  CT검사 종료시점에서24시간 이후부터 대사약물을 다시 복용한다

  • 수술이 예정된 환자는 항혈전제(디피리다몰, 아스피린 등 )를 5일전부터 복용하지 않는다 .

*  날트록손 ; 트라마돌코데인 주의

  • 대사치료 시작후 2-3개월이가장 힘들다. 이때까지 체중감소가 어느정도 있으나 이 기간이 지나면 체중이 유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