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와 산양유
우유 100cc 당 3.2% 단백질 함유 우유 1리터에는 약 30g 단백질 함유
우유 단백질 중 80%는 카제인, 20%는 유청단백
우유 1리터 중 카제인 24g 유청은 6g
우유 –> 탈지 –> 카제인(치즈, 유즙 원료) + 유청단백
1) 농축유청단백 – 유청단백에서 비단백질 성분을 제거
2) 분리유청단백 – 농축유청단백을 필터링하여 유당(glucose + galactose)
영아기에는 유당분해효소를 가지고 있지만 모유를 끊으면서 유당분해효소는 줄어듭니다
유당분해효소가 적은 분들이 우유나 유당이 들어있는 유청단백(농축유청단백)을 먹게 되면 유당불내성이 발생하여 가스 및 더부룩함 피부트러블 유발합니다.. 필러링을 통해 유당을 제거한 것이 분리유청단백입니다..
3) 가수분해 유청단백 – 펩타이드 형태로 가수분해/소화시킨 유청단백으로 아기유아용, 우유알레르기환자용, 근육보충용으로 최고의 제품
AMPK
-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는 세포의 에너지 항상성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이 효소는 세포에서 AMP/ATP의 비율을 감지하는 AMP 센서이다. ATP의 소모로 ADP에 이어 AMP가 증가하면, AMP는 AMPK의 γ 소단위의 결합부위에 결합하고, 이는 α 소단위의 촉매영역을 노출시켜 AMPK의 상류 kinase AMPKK가 threonine-172를 인산화 하여 AMPK가 활성화한다.
- AMPK는 세포의 포도당유입, 지방산의 β-oxdidation, glucose trans- porter 4의 생합성 등을 포함하는 세포 내 시스템을 조정하는 마스터 스위치이다. 신체운동은 세포의 ATP 요구증가로 인한 대사스트레스가 AMPK를 활성화한다. 이는 지방산, 단백질 합성 등 ATP-소모의 동화작용을 억제하고 지방산 산화, 포도당 유입 등 ATP-발생의 이화작용을 촉진하여 에너지균형을 유지한다
- AMPK의 활성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점차로 감소한다. 하등동물의 모델시스템에서 AMPK 활성증가는 수명을 연장한다
- 노화에 따른 AMPK 활성감소는 자가 포식의 감소; 산화 등 스트레스의 증가; 세포자멸 저항성, 염증, 지방축적, 혈당 등의 증가; 대사증후군의 증진을 수반한다. AMPK 활성증가를 유도하는 인자는 AMP, NAD+, 운동, leptin 같은 호르몬, 2형 당뇨 치료제 metformin, 식물 알칼로이드 berberine 등이다.
성장호르몬 인슐린, IFG-1, 과다한 음식(설당, 단백질-류신)는 mTOR를 활성화시켜 성장도 높이지만 노화도 빨리오며 반대로 라파마이신, 메포민, 칼로리제한식들은 mTOR를 낮춰서 수명을 늘리고 암발생을 낮춤
AMPK촉진제들이 mTOR를 억제한다 – 메포민, MSM, 파이토케미칼 ALLICINE, sulforaphane 녹차
AMPK 에너지센서
- 저혈당, 과격한 운동, 저산소증 및 허혈 등 AMP/ATP 비율을 증가시
키는 신호전달과 세포 내부의 스트레스 반응에 의해 활성화된다.
AMPK가 활성화 된 경우 이화반응을 유도하여 ATP 생성을 증가 - 식품 또는 자연계 유래 물질로서 AMPK 활성화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은 적포도주에 포함된 resvereatrol, 고추에서 유래된 capsaicin, 콩에서 유래된 genistein, 녹차의 주성분인 catechin, 매자나무(Genus berberis)에서 유래된 berberine, 양파껍질의 quercetin, 곰보배추(Salvia plebeia)에서 유래된 hispidulin과 그 외 카레의 주 요성분인 curcumin과 감기, 류마치스 관절염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었던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수액, 인삼의 주요성분인 ginsen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mTOR
일반적으로 세포의 성장(growth)과 증식(proliferation)은 세포 내부와 외부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며, 특정세포는 세포 외부의 영양상태와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인지하여 세포내 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경로를 통해 적절한 반응을 함으로써 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여러 가지 질병 상태가 나타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암(cancer)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포함한 세포의 생명현상 유지를 위해서는 단백질의 합성과정이 필수적이며, mRNA로부터 단백질을 합성하는 단백질 번역(translation) 과정은 세포의 단백질 생성의 중심적인 지점이다.
따라서, 세포 외부의 영양상태와 성장인자를 인지하여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단백질의 번역을 조절하는 것은 세포의 성장과 증식의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와 같은 조절의 중심에 ‘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가 있다.
mTOR는 효모(Saccharomymyces cerevisiae)에서 macrolide계 항생제인 rapamycin의 표적 단백질로 밝혀진 TOR1과 TOR2에 대한 포유동물에서의 상동단백질(ortholog)로 처음 알려졌으며, FRAP (FKBP-rapamycin-associated protein), RAFT1 (rapamycin and FKBP target), RAPT1 (rapamycin target) 등의 이름으로도 보고되었다. Rapamycin은 칠레 이스터섬(Rapa Nui로도 알려짐)의 토양 박테리아인 Streptomyces hygroscopicus로부터 추줄한 물질로 1970년대에 항진균제로 처음 알려졌고, 이어서 1999년과 2000년에 강력한 면역억제제로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승인,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형암에 대한 National Cancer Institute screening programme에서 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의 유도체를 이용한 항암제가 임상시험 중에 있다. mTOR는 이러한 작용을 하는 rapamycin의 표적 단백질로서 protein kinase (단백질 인산화효소)의 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활성은 주로 세포 외부의 영양상태와 성장인자에 의해 조절되며 또한 단백질의 번역과정을 비롯한 여러 세포 내의 필수적인 과정을 조절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포함한 여러 생명 현상의 조절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mTOR를 중심으로, 이를 조절하는 인자들과 이에 의해 조절되는 단백질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mTOR를 중심으로 하는 신호전달경로에 있는 단백질들이 세포의 성장, 증식과 같은 필수적인 생명현상 뿐만 아니라 암이나 심비대 같은 질병과도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