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K세포란?
면역에서 2차 방어막 역할은 선천성 면역의 백혈구와 대식세포, 자연살상세포(NK세포)들이다
이 면역 세포들도 세포벽의 당사슬/당단백질의 합성과정에서 정상적인 폴딩과 당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세포간의 인지가 안되거나 정보교류가 안되어 적아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고 면역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NK세포란 혈액내에 존재하는 천연면역 세포중의 하나로 면역시스템에서 2차 방어막 역할을 하는 세포다.
생체 면역방어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항원의 인식 없이도 직접적으로 암세포나 감염세포 등을 파괴할 수 있는 세포입니다
자연살해 세포(NK세포)는 암세포나 바이러스, 염증으로부터 내 몸을 보호하는 선천적인 면역세포입니다.
1인당 약 5,000-1억 개의 NK세포가 있고, 이들은 능동적으로 암세포를 찾아 싸이토카인과 캐모카인을 분비하여 표적세포들의 자멸사 또는 괴사를 야기하는 능력 때문에 자연살해세포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NK세포는 여러가지 단백질을 갖고 있어서 항체가 없어도 암세포들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NK세포는 여러가지 단백질을 갖고 있어서 항체가 없어도 암세포들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NK세포의 주된 기능은 3가지입니다
① 첫째, 백혈병, 간암, 폐암 등의 많은 종양세포의 발생, 증식, 전이의 억제에 관여합니다
② 둘째, 바이러스 및 기생충, 진균, 세균 등의 감염증의 억제 기능을 합니다
③ 셋째, 정상인에게 있어 항노화 작용을 합니다
NK세포의 역할은?
NK세포는 암세포, 감염바이러스 등을 스스로 찾아 제거하여우리몸을 지켜줍니다.
소량의 혈액으로 자신의 면역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면역력 검사를 통하 검사자의 향후 치료 및 요법 선택의 최적화와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여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NK세포의 활동성이 저하되면(면역력이 저하 될 경우) 암을 비롯한 바이러스성 질환 등 질병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또한 NK 세포는 나이나 성별, 혈액형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폐암, 유방암, 간암, 대장암 등을 포함하는 여러 고형암 환자와
루프스와 같은 자가면역질환 환자 등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비하여 낮습니다.
ⓐ 매일 발생는 암세포를 제거합니다.
우리 몸은 약 60조~10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정상인이라 할지라도 그 중 하루에 1,000~5,000개의 암세포가 매일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건강한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NK세포가 주축으로 매일 발생되는 암세포들을 제거하여 암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 암의 재발, 전이를 막습니다
NK세포는 암세포이 발생을 감지하여 제거할 뿐만아니라, 수술 후 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T cell이 공격할 수 없는 암세포를 NK cell은 공격합니다.
암세포는 항원의 인식 없이도 공격이 가능한 NK cell이 더 효과적으로 공격.
ⓓ 항체가 결합해도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습니다.
암세포에 반응해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체요법이 사용되는데 Y자형을 한 항체의 꼬리 부분에 NK cell이 결합해 활성화시켜 암 세포를 죽이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
ⓔ 암에 대한 면역을 강하게 합니다.
NK cell은 암세포를 죽일뿐만 아니라, 수지상 세포를 자극시켜 세포독서 T세포를 많이 만들어내는 효과
면역세포(세포독성T세포, NK세포)가 암세포를 파괴하는 과정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① 첫째는,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활성화된 T림파구(CTL)는 MHC class-I 제한된 방식으로 암세포를 인식하여 파괴합니다. 암세포를 일단 인식하면, 암세포에 최대한 근접한 후 페포린(perforin)과 그랜자임(granzyme) 두 효소를 방출하여 암세포이 세포벽에 구명을 내어 파괴하고,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합니다
② 둘째는, 과립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암세포와 만나기 전에 과립은 후미에 존재하다가 점진적으로 T-세포 앞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암세포와 만나자 마자 2분 내에 T세포는 암세포를 잡아서 과립이 암세포내로 침범하게 하도록합니다. 그 후 10분이 지나면, T세포는 암세포 내로 과립의 내용물을 넣어서 암세포가 피괴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NK세포가 암의 예방과 꿈의 암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① 첫번째 이유는 ” NK세포는 매일 매일 생성되는 암세포를 제거한다는 점” 때문입니다
우리 몸은 약 60조~10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정상인이라 할지라도 그 중 하루에 1,000~2,000개의 암세포가 매일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건강한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NK세포가 주축으로 매일 발생되는 암세포들을 제거하여 암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② 둘째는, NK세포가 암의 재발 및 전이르 막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NK세포는 암세포이 발생을 감지하여 제거할 뿐만아니라, 수술 후 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③ 세포독성 T세포들이 공격 할 수 없는 암세포를 NK세포들이 공격한다는 것입니다
암세포는 세포독성T세포(CTL cytotoxic T lymphocyte)로부터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시간이 지날수록 자기 자신의 항원을 바꾸어 CTL로부터의 공격을 피합니다. 이러한 암세포는 항원의 인식 없이도 공격이 가능한 NK세포를 통해 더 효과적으로 공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④ 네번째는 항체가 결합해도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암세포에 반응해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체요법이 사용되는데 항체요법이 효과가 있는 이유 중의 하나도 NK세포가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Y자형을 한 항체의 꼬리 부분에 NK세포가 혈합해 활성화시켜 아멧포를 죽이는 것이 실험저긍로 학인되고 있습니다.
⑤ 다섯번째로, NK세포 면역치료는 암에 대한 면역을 갛하게 합니다.
NK세포는 암세포를 죽일 뿐만 아니라 수지상세포를 자극시켜 세포독성T세포를 많이 많들어 내는 효과가 있고 또한 특별히 기존이 수지상세포 보다 몇십배나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NK세포 면역치료의 대상자는 누구?
NK세포 면역치료한 혈액속에 있는 NK세포와 T세포를 추출하여 2주동안 수천에서 수만배를 배양하여 다시 환자의 몸속으로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이론적으로는 세포 면역치료가 가장 좋은 치료법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 세포 면역치료는 고가의 방법이고 누구나 쉽게 받을 수 있는 치료법 또한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NK세포 면역치료를 하는 것이 좋을 까요?
가장 좋은 대상자는 세포면역치료가 암세포수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암세포수가 적을 수록 효과적이므로
암 재발방지를 위해서, 또는 항암치료와 병행하는 중에 있는 환자에게 가정 적합한 치료법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암환자들은 말기 상태에 이르러서, 지푸라기라고 잡고 싶은 정도로 치료를 받으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NK세 면역치료를 시행하게 되면 대부분 실패하게 됩니다
암 치료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내성” 입니다
암 내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서 암치료의 성공률에 차이가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암 치료는 신호 1과 2르 이용하여 암세포를 죽입니다
신호1은 부작용이 없는 치료법으로 세포내 신호 경로를 변화시켜 자살을 유도하며,
신호 2는 치료제(항암제, 방사선치료, 면역치료베)의 세포독성 활동을 증가시켜 자살을 유도합니다.
만약, 외부와 내부 면역 반응이 암 진행을 억제하지 못하였을 때, 그 이유를 아는 것은 세포 면역치료를 증강시키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아무리 수술, 항암제치료, 방사선 치료를 잘 하여 암이 없어졌다 해도
우리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있으면 언제든지 재발을 할 수 있고, 언제든지 전이가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때문에 면역력을 증강 시키는 치료는 암의 예방과 치료, 재발 및 전이 방지에 반드시 필요한 치료법입니다.
현실적으로 세포 면역치료는 고가의 방법이고 누구나 쉽게 받을 수 있는 치료법 또한 아닙니다
그러면 암의 예방을 위해, 또는 암 치료중인 경우,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 까요?
NK세포 활성도?
1980년대에는 인체에 존재하는 NK세포의 숫자와 암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으며 인체 내에 NK세포의 숫자가 많으면 항암면역력이 좋은 것으로 인식되어졌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NK세포의 숫자와 항암작용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1990년대 접어들어 현재까지 NK세포에 대한 다른 측면의 연구활동이 대두되었는데 NK세포의 숫자보다는 활동성이 암을 억제한다는 다수의 논문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를 뒷받침으로 NK세포의 활성도와 암의 진행 정도는 반비례한다는 이론이 학설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NK세포 활성도란?
NK세포가 활성화되면 단백질의 일종인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데, 활성도는 혈액 중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량으로 표시된다.
미라클에서 측정하는 NK CELL 활성도 검사는 무엇을 검사하나요?
활성화된 NK CELL에서 분비하는 인터페론 감마의 양을 효소면역분석법(EIA)로 정량하는 검사법을 사용하여 인터페론 감마를 정량적적으로 측정합니다
소량의 혈액을 이용하여 자신의 면역력(암 또는 질병에 대항하는)을 측정할 수있습니다.
NK세포 활성도(면역력) 측정 검사를 통하여 면역자원들을 최적으로조절하는 치료 및 요법을 통해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뿐만아니라 건강한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연령별 평균은 20대 777.77 pg/mL, 30대 817.90 pg/mL, 40대 700.77 pg/mL, 50대 649.72 pg/mL, 60대 이상 642.32 pg/mL 수준이다.
300 pg/mL 미만이면 암세포·바이러스를 제대로 없앨 수 없는 ‘면역력 저하 상태’로 본다. 이때의 pg/mL는 혈액 1mL 당 인터페론 감마의 양(1조분의1 g)을 의미합니다
NK세포 활성도 저하가 의심되어 검사 필요한 경우는?
NK Cell Activity(자연살상세포 활성도), NK세포 활성도 검사법으로 면역력을 체크하세요
‘세계 최고의 의사는 당신 몸 안에 있다’.
현대과학이 정복하지 못하는 암을 위시한 대부분의 질병 90% 이상이
면역기능 저하로 오며 진정한 세계 최고의 의사는
우리 몸속의 면역체계와 자가치유능력이다.
건강하기 위해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는것이 질병을 예방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여 큰병으로 발전할수 있고 위험할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의 면역력은 어느정도일까요?
ⓐ 피로감을 자주 느낄 경우
ⓑ 흡연습관이 있거나 과도한 음주를 할 경우
ⓒ 장기간 독소나 환경 호르몬 및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경우
ⓓ 장누수증후군, 만성 위염 및 성인병, 암(악성종양) 등의 병역이 있을 경우
ⓔ 감염성 질환(대상포진, 단순포진, 감기 등)에 쉽게 노출될 경우
ⓕ 가족 구성원이 위 사항에 해당될 경우.
NK세포 활성도 검사로 예방가능한 대표적인 질환들은?
1) 암 발생에 대한 공포심 완화
2) 각종 면역질환 예방 가능
3) 대상포진
4) 알레르기성 비염
5) 아프타성구내염
6) 각종 자가면역질환들
류마티스 환자의 NK세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Nk세포 활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류마티스 환자군에서 NK세포의 활성이 현저희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Mod Rheumatol 2014
소량의 전혈에서 Nk세포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하고 고효율적인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NK세포 활성도 측정은 악성종양, 바이러스질환, 면역매개성 질환 등과 같이 NK세포 기능의 억제와 관련된 질병의 예후 판정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2014
각종 암(전립선암, 혈액암, 폐암, 대장암, 위암, 전이성암)에서 NK세포 활성도가 감소되었고 예후판정에 유용하다.
면역력을 약화시켜 NK세포 활성도를 낮추는 요인?
- 비효소적 당화(glycation)과 최종당화산물에 의한 산화적스트레스
- 활성산소 증가
- 각종 영양소/항산화제의 불균형과 결핍(단백질 및 당영양소 부족으로 정상적인 당단백질의 생성 장애로 면역력 무너짐)
- 고포화지방음식
- 각종 오염, 독소, 환경호르몬, 식품화학첨가물, 화장품속 화학첨가물
- 스트레스
- 항생제내성
- 자연살상세포수 감소
- 음주, 흡연
- 노화
- 수면부족
- 소화장애, 장누수증후군
면역력을 강화시켜 NK세포 활성도를 높이는 방법 12가지?
① 스트레스 줄이기, 올바른 감정표현( 울음과 웃음)
② 숙면,
③ 적절한 운동
④ 비타민 섭취 – A, C, D(적당한 일광욕) E, 요오드
⑤ 미네랄 – 아연 셀레늄
⑥ 항당화제(anti-glycation), 항산화제, 해독 영양소, 프로바이오틱스, 글리칸함유 MAC와 단백질
⑦ 멜라토닌
⑧ 베타글루칸
⑨ 폴리감마글루탐산 – 청국장
⑩ 강황 커큐민 아시아간다
NK세포의 활성을 돕고 면역력 증진에 좋은 물질은?
ⓐ 비타민B1(마늘주사), B2, 리포산(리포아란/신데렐라주사 Lipoic acid) – 글루타치온 환원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된 굴루타치온을 항산화력이 있는 환원된 글루타치온으로 변화시켜 재샤용하게 함으로써 글루타치온의 농도를 높인다
ⓑ 셀레늄은 항산호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를 활성화시켜 글루타치온의 항산회능력을 증진시킨다
ⓒ 비타민 C,E는 글루타치온 전환효소를 활성화하여 하이록시라디칼이나 중금속 등을 글루타치온이 해독하는데 도움을 준다
— 이런 이유 때문에 글루타치온(백옥주사) 단독 보다는 마늘주사(비타민 B1) 비타민B2, 비타민 C, E, 셀레늄 등을 병합해서 주사햐면 더 강력한 항산화 및 미백, 항노화, 면역 증진 작용을 할 것이다
2) 당화(glycosylation)과 당영양소/글리코영양소
- Nature Vol. 373. Feb 16, 1995
글리칸(글리코영양소)와 관련한 발견 – 세포 표면의 당단백(glycoproein)의 당(glycans, 촉수, 당사슬, 당쇄)는 인지와 면역기능과 세포의 인식에 필수이다고 발표
- 세포 표면의 당단백(glycoproein)의 당(glycans, 촉수, 당사슬, 당쇄) 부위는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줄기세성장인자, 염증조절물질(인터류킨, TNF)의 지시를 세포내에 전달하고, 독소와 세균의 공격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등 인식과 면역기능을 위해 중요하다
- 8가지 글리칸(당영양소)와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해서 면역세포의 당화(glycosylation)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NK세포와 마크로파지 등의 면역세포의 activiey(활동력) 증진된다. ( 378% ~ 1843% ) Dr. Nugent/Dr. Mike King 발표
3) 비타민 A, E
Retinoic acid는 NK세포에서의 감마인터페론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Eur.J Phamcol. 2013
2주간 고농도의 비타민E를 섭취한 대장암 환자의 NK세포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Cancer Immunol. 2007
4) 아연
- 아연 결핍이 관찰된 65% 후두암 환자에 NK세포 활성이 감소되어 있었다. Nutrition and Cancer 2009
5) 셀레늄
셀레늄은 NK세포를 비롯한 면역세포의 기능과 면역 결핍과 관련성이 있다. Immumology today. 1998
셀레늄은 필수 미량 원소로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세포내의 산화 환원 균형을 조절하며 면역기능을 조절(NK세포 활성)하고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조절한다. Selenium, Immune function and resistance to viral infection, Nutrition and dietetics. 2008
6) 인삼추출물
- 12주간 인삼 추출물을 복용한 사람의 NK세포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J TranslMed 2014
7) 알로에
- 알로에는 NK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In vivo. 2006
8) 버섯추출물
암환자에서 화학치료와 버섯추출물 섭취의 병행은 지속적이고 통계학적으로 NK세포의 활성도를 높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An in-office evaluation of four dietary supplements on matural killer cell activity. Townsend Letter for Doctor and Patients. 2005
9) 효모
효모 유래의 베타글루칸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효모에 인위적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세포벽에 변이를 유도하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변이로부터 얻어지 베타글루칸의 면역 및 항염에 관한 활성이 우수하였다. Immunostimulatting Acitiviy of Beta-Glucan Isolated from the Cell Wall of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its Anti-tumor 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Cisplastin. Korean J. Food and Nutr 2010
글리칸함유 영양소(베타글루칸, 앰브로토스, 버섯다당체) 공급과 대사 정상화(중금속, 환경호르몬, 당독소 해독, 산화스트레스)를 통한 유전자발현- 단백질번역후 변형 - 효소적당화/ GLYCOSYLATIN 정상화를 통한 면역세포 활성화
1) 면역 1,2,3구조 정상화를 통한 면역시스템 활성화
2) 글리칸 함유 MAC(당질영양소)들은 면역세포들 즉 대식세포, 호중구, 자연살상세포, T세포, B세포 등의면역기능들을 활성, 강화 내지 조정합니다
대식세포의 생성을 촉진하고, 대식세포의 기능에서 정확도, 속도, 규모 등을 후원합니다.
호중구의 이동속도와 규모를 증가시키고 효율성도 높입니다.
자연살상세포의 수와 활동을 현저하게 증가시킵니다
( 최대 1843% Dr,Nugent/ Dr,MikeKing이 PhotonSpectrometer를 이용한 발표)
T세포들에서 고유한 균형을 회복하게 합니다.
B세포들이 많은 항체를 생산하게 합니다.
3) 천연살상세포, 대식세포의 세포막 표면 당질배합체 당분자가 암세포의 세포막 당질배합체 당분자와 결합하여 암세포를 이물질로 인지하고 나아가 인터페론이란 면역물질을 분비하여 자연살상세포들을 활성화
하고, 자연살상세포는 암세포를 살상시킵니다.
글리칸 함유 MAC(당질영양소)들이 암세포의 렉틴에 결합해서 암세포가 숙주세포의 당질배합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어 암세포가 정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암 전이가 억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