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평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는 ?
1. 산화손상 표지자
1) 핵산 산화 ; 8-OH-dG)
2) 단백질 산화 ; 3-nitrostyrosine, methioneine sulfoxide
3) 지질산화 ; lipid peroxidase, isoprostane, oxidized-LDL, Malondealdehyde
2. 총 산화계(TOS), 총 항산화계(TAS)
3. PON1(Paraoxonase)
4. 텔로미어 길이분석
5. 산화대사물 검사 ; 요산, 알부민, 페리틴, 빌리루빈
6. 항산화영양소 소변검사
글루타치온 – sulfate, Pyroglutamate, a-hydroxybutyrate
vit A, E, b-carotne, CoQ10
항산화 미네랄 ; 셀레니움 아연 구리
7. 미토콘드리아 기능검사 ; 소변유기산 검사
TAS & TOS 항산화력 검사
활성산소란 공기중의 산소를 호흡하여 산화에 얻어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명을 유지하는데 이대 여러 대사과정에서 끊임없이 생성되어 생체 조직을 공격하여 세포를 산화.손상시키는 주된 성분이며
유해 산소라고도 한다.
또 한편으로 병원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생체방어 과정에서 O2, H2O2와 같은 활성산소가 대량 발생하며 이들의 강한살균 작용을 통해서 병원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산소의 존재하에서 발생하는 세포나 세포소기관에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생체 내 여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그리고 핵산의 손상으로는 핵산 염기의 변형.핵산 염기의 유리.결합의 절단.당의 산화 분해 등을 초래하여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ROS 생성은 오염물질, 전리방사선, 중금속, 화학물질(xenobiotics)과 같은 외인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후 크게 증가하여 세포의 DNA 및 기타 생체분자에 상당한 손상을 초래합니다.
세포가 이러한 유해 물질을 해독할 수 없는 상태에서 ROS 생성과 자가 항산화시스템[항산화 효소(예: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글루타티온(GSH) 퍼옥시다제(GPX), GSH 환원효소(GR) 및 카탈라제)]이나 외부 항산화제의 부족으로 ROS 축적되어 생성과 해결 사이의 불균형을 산화 스트레스라고 합니다..
정상 세포와 암세포 사이의 세포 대사의 주요 차이점 개요.
암 세포에 높은 산화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기존 조건에서 카로티노이드는 주로 산화촉진제로 기능하여 ROS에 의해 유발된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초래합니다.
Pro-oxidant Actions of Carotenoids in Triggering Apoptosis of Cancer Cells: A Review of Emerging Evidence
Antioxidants 2020, 9(6), 532; https://doi.org/10.3390/antiox9060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