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저하증 검사
건강과 자연치유력의 유지(항상성/조절, 에너지생성. 복구/재생, 면역, 해독, 영양소 순환)을 위해서는 위장건강이 중요합니다.
위장관은 음식물의 소화, 흡수, 배설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장관 점막이 관내 미생물이나 이들의 부산물, 항원, 독소 등의 혈류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1차 방어벽으로서의 면역학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많은 경우에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증상으로
소화불량, 속쓰림, 과도한 개스, 변비나 설사 등이 있습니다.
1. 위산의 역할

노화와 만성, 난치성질환의 근본 원인 중의 하나가 영양의 불균형, 당의 과잉, 다른 영양소의 결핍입니다.
먹은 음식을 소화해서 우리 세포의 먹이인 영양소를 만드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위산이 충분할 때 펩시노겐이 펩신으로 변화되어 단백질을 소화시키게 됩니다. 또한 췌장 및 담즙 분비를 자극하여 탄수화물, 지방의 소화효소를 분비하게 됩니다.. 세포의 생명활동의 근간이 되는 아미노산, 당, 지방산, 비타민, 미네랄이 잘 생성되고 흡수할 때 위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위산은 음식속의 여러 잡균을 제거하기 때문에 부족시 소장으로 잡균이 넘어가서 SIBO, DYSBIOSIS, 장누수의 원인이 됩니다
2. 위산저하증이 의심될 때 검사와 진단은?
혈액검사로 펩시노겐 I, II검사위산은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므로 위산이 부족시 펩시노겐이 증가합니다…
즉 간접적으로 위산저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8시간 공복후 혈액검사로 시행합니다…
펩시노겐 1,2와 함께 가스트린, 벽세포항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항체 검사를 같이 시행합니다
위산저하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장의 균총불균형/SIBO 소장 유해균과다증식/IBS과민성대장증후군, 장누수증후군의 원인이 되어, 영양의 불균형과 독소의 증가로 인해 유전자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하는
7코어 건강유지시스템 즉 7코어 자연치유시스템의 불균형을 유발하여 증상과 증후가 발생하고 만성 난치성 질환을 유발하게 됩니다
① 영양소 – 소화 흡수 이상, 장내 세균 이상,② 조절시스템인 호르몬과 신경 전달물질 불균형,③ 면역/염증 이상,④ 해독/배설 이상,⑤ 순환 불균형⑥ 에너지 불균형과 미토콘드리아 이상, ⑦ 세포막-ECM-근골격계에 이르는 구조적 불균형, 및 재생 복구 불균형-줄기세포 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