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트로겐 우세증
Estrogen과 progesterone은 서로 협력하여 일하며 균형을 이룸으로써 남녀 호르몬 조화를 유지한다. 에스트로젠이나 프로제스테론의 불균형은 이들 양대 호르몬의 절대적 결핍이 아니다. 에스트로젠의 상대적 우세와 프로제스테론의 상대적 결핍으로 2가지 호르몬의 균형이 무너져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에스트로젠, 프로제스테론 등 성 호르몬은 가령과 함께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폐경 주위기나 폐경 여성은 이 양대 호르몬 비율이 현격하게 변화한다.
프로제스테론 생성은 35~ 50세 사이에 75% 정도 감소하지만 에스트로젠은 단지 35% 감소한다. 폐경이 되면 프로제스테론 총 생산량이 매우 낮지만 에스트로젠은 생리 시기의 절반 정도는 존재하는 것이다.
에스트로젠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지만 프로제스테론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에스트로젠 효과를 상쇄할 수 있는 프로제스테론이 부족한 것이다. 이 상태를 에스트로젠 우세(estrogen dominance) 현상이라고 한다. 30대 중반기의 많은 여성, 폐경 주위기인 40대 중반의 대다수 여성, 폐경기의 모든 여성(50세 이상)은 에스트로젠으로 과부하된다. 동시에 프로제스테론의 생리적 생산량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프로제스테론의 상대적 결핍이 문제가 된다. 최종 결과는 프로제스테론에 비해 에스트로젠이 과다해진 estrogen dominance 상태가 되는 것이다.
Dr. John Lee에 의하면 양대 호르몬 균형의 핵심은 프로제스테론을 조절하여 2가지 호르몬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최적 건강을 위해서는 P/E ratio를 200~300:1로 유지해야 한다.
에스트로젠 우세과 관련된 질환은
- 섬유낭종성 유발 질환,
- 생리전 증후군(PMS),
- 자궁섬유근종(uterine fibroids),
- 유방암,
- 자궁 내막증,
- 불임,
- 자궁내막 용종,
- PCOS,
- 자가 면역 질환,
- 저혈당,
- 생리통 등이다
에스트로겐 우세는 신체의 프로게스테론 수치에 비해 에스트로겐 수치가 증가된 상태입니다. 에스트로겐 우세는 신체의 에스트로겐 과잉 생산, 에스트로겐 대사 및 배설의 변화 또는 에스트로겐 대 프로게스테론 비율의 불균형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유방암 및 자궁암, 섬유종, 자궁내막증,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비롯한 많은 상태가 에스트로겐 우세와 관련되거나 악화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신체는 세 가지 주요 에스트로겐을 만듭니다.
- 에스트론 (E1)
- 에스트라디올(E2)
- 에스트리올(E3)
에스트론(E1)은 주로 지방 조직에서 만들어지는 폐경 후 신체에 존재하는 주요 유형의 에스트로겐입니다. 에스트라디올(E2)은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으로 난소에서 만들어지며 폐경 전에 체내에 존재합니다. 에스트리올(E3)은 가장 약한 에스트로겐으로 주로 임신 중에 체내에 존재합니다.
신체에는 에스트로겐이 결합하는 두 가지 주요 수용체가 있습니다.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알파 수용체와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베타 수용체입니다. 각 유형의 에스트로겐은 이러한 수용체에 다양한 친화력으로 결합하여 세포 증식 또는 세포 억제를 유발합니다. 에스트로겐이 신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에스트로겐의 대사 산물도 중요합니다.
에스트로겐 대사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 베타
– 파이토 에스트로겐은 알파수용체 antagonist로 작용하여 에스로겐, 지노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줄이고 베타수용체는 활성화한다
브로콜리, 꽃양배추, 양배추, 케일, 복초이, 방울 다다기 등 비발효 대두 종류와 십자화과 야채는 피토에스토로젠(phyto-estrogen)을 함유한다
이들 식물성 에스트로젠은 화학 구조가 에스트로젠과 유사하며 다만 강도가 약할 뿐이다. 이런 종류의 야채를 섭취한 여성은 안면 홍조 증상이 약간 경감된다. 폐경 여성은 에스트로젠이 결핍되기 때문에 phyto-estrogen 보충을 위해 대두류와 십자화과 야채 섭취를 권장한다. 그러나 이들 야채의 피토에스트로젠의 효과는 에스트로젠 수용체(세포막) 결합에 내인성 에스트로젠과 경쟁함으로써 비롯된다. 신체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젠보다 수 배 더 미약한 피토에스트로젠이 내인성 에스트로젠 대신 에스트로젠 수용체에 결합하여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피토에스트로젠은 T4-> T3(활성형) 전환을 억제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초래한다.
에스트로젠 우세 여성은 두부, 십자화과 야채 등 비 발효 대두식품만 섭취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갑상선 문제가 있는 여성은 이런 종류의 야채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
커피를 마시면 E2(estradiol) 수준을 증가시킨다. 신체에는 3가지 형태의 에스트로젠이있다. estrone, estradiol, estriol이다. 이 가운데 Estradiol이 암 유발인자다
5a-Reductase 효소가 고인슐린혈증과 비만, 유전적 소인, 지노에스트로겐/에스트로겐 우위증(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에 의해서 활성화되면
① Testesterone >> 5a-DHT. 가장 강력한 남성호르몬으로 전환 >> 탈모와 전립선비대 야기
② Progesteron을 대사 >> a-Pregnanediol로 전환,,,
③ Cortisol >> a-THF
5a-Reductase
1. 이 효소가 고인슐린혈증과 비만,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활성화되면
① Testesterone >> 5a-DHT. 가장 강력한 남성호르몬으로 전환 >> 탈모와 전립선비대 야기
② Progesteron을 대사 >> a-Pregnanediol로 전환,,,
③ Cortisol >> a-THF
2. 5a-Reductase 효소 차단 방법
ⓐ 피나스테라이드, 듀타스테라이드
ⓑ vit B6, Zn, ALA(오메가3), LA(오메가6), GLA, saw palmeto, EGCG( 카테킨), nettles, pygeum
인슐린저항성으로 인슐린 증가(PCOS환자의 30-40%)는 5a-Reductase와 17a-hydroxylase를 활성화하여 안드로겐 증가, 5a-DHT증가와 프로게스테론과 코티솔을 감소시킨다...
- 안드로겐/5a DHT과다
- 프로게스테론 감소(에스트로겐 우위증)
- 코티솔 감소 ; 만성스트레스 악화
에스트로겐은 두 가지 주요 경로를 따라 2-하이드록시에스트론과 16-하이드록시에스트론으로 분해됩니다. 이러한 대사 산물 각각은 신체에서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2-하이드록시에스트론은 세포 증식과 암 성장을 촉진하는 더 강력한 에스트로겐을 차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건강상의 이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16-하이드록시에스트론은 세포 증식을 증가시킵니다. 16-하이드록시에스트론 수치가 높을수록 염증, 오메가-6 지방산 과잉 수치, 비만, 갑상선 기능 저하증, 살충제 독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1] 소량의 에스트로겐은 4-하이드록시에스트론으로 대사되는데, 이는 DNA를 손상시켜 암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림 1은 에스트로겐이 스테로이드 대사 경로에 어떻게 맞는지 개략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2-하이드록시에스트론 생성을 촉진하는 건강한 에스트로겐 균형은 여성의 건강에 중요합니다. 실험실 검사로 여성의 에스트로겐 비율을 결정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에게는 검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에 민감한 상태의 위험이 증가하고 에스트로겐 우세를 조장하는 행동을 하는 여성은 건강한 생활 방식 변화에 대해 상담해야 합니다. 다음은 에스트로겐 대사를 2-하이드록시에스트론 경로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
- 운동과 체중 감량
- 대두 및 아마씨와 같은 이소플라본
- 오메가-3 지방산
- 녹차 폴리페놀
- 인돌-3-카비놀(I3C) 및 디인돌릴메탄(DIM, 위산에 의한 활성화 후 I3C의 결과)을 포함한 십자화과 야채 및 브로콜리 유도체
에스트로겐의 증상과 원인
에스트로젠 우세증의 증세는
1)유방이 팽창되고 커진다
2) 손가락에 반지를 끼울 수 없다
3) 참을성이 없어진다
4) 빈번한 경련
6) 무월경 또는 불규칙한 생리
7) 생리 혈 중의 혈괴
8) 생리 전 증후군
9) 유방 압통
10) 자궁 근종
11) 자궁 내막증
12) 신발이 맞지 않는다
13) 유방에 낭종이 있다.
14) 항상 피곤하다
에스트로젠 우세의 흔한 원인 12가지
1) 에스트로젠 유사 호르몬, 성장 호르몬으로 대량 사육된 가축, 덩치 큰 바다 어류, 연안 어류, 조개의 오염물.
2) 상업적으로 재배한 과일 및 야채에 들어 있는 살충제. 제초제, 살 진균제
–호르몬 교란물질이다. 살충제 잔유물은 에스트로젠과 유사한 구조다
3) 제노에스트로젠(xenoestrogen)에 노출
4) 산업 용매(Industrial solvents)
5) 호르몬 대체 요법(HRT).
6) 에스트로젠 과다 생성
난소 낭종 및 종양 때는 에스트로젠이 과다해진다.
7) 스트레스 ; HPA-HPT-HPG
8) 비만
9) 간질환
간 경화증은 에스트로젠 분해 능력이 감소된다. 간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할 때에도 에스트로젠 수준이 증가한다.
10) 비타민 B6 및 마그네슘 결핍
이들 영양소는 간에서 에스트로젠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영양소다. 반면에 에스트로젠 수준이 너무 높은 사람은 아연, 마그네슘, 비타민 B군이 결핍되기 쉽다. 이들 영양소는 모두 호르몬 균형에 중요한 영양소다.
11) 당분, 패스트 푸드, 가공 식품 섭취
이들 식품은 모두 마그네슘 결핍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에스트로겐 우세증 - 기능의학적 검사법와 치료 과정
1단계 기초 문진․ 사전 설문지 & 전문의 진료
2단계 검사시행 -> 기본검사 & 정밀검사 (8시간 공복 필요)
(참고 : 결과보고는 검사항목에 따라 최소 하루에서 최대 2주정도 소요됩니다)
만성질환의 원인(영양의 불균형, 환경오염 독소-중금속, 환경호르몬, 잘못된 식습관)과 기전(7 자연치유력과 7코어불균형)을 찾아야 근본 치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검사가 필요합니다..
- MDS / MDS Toxic load,
- 위산분비능검사,
- IgG4(장누수)검사,
- 소변유기산검사
- 모발 중금속&미네랄 검사,
- 호르몬 혈액 검사 ; FSH, LH, E1, E2, E3, 코티솔, DHEA
- 더치 테스트
3단계 기능의학 검사 결과 상담, ; 만성질환의 원인(영양불균형, 중금속, 환경호르몬중독, 스트레스)과 기전(7 자연치유시스템 불균형)을 확인하고 치료 계획 수립하기
4단계 최종 진단후 라이프 스타일(식이 및 습관) 교정 상담
5단계 처방 및 처치
- 현대의학적 치유
- 기능의학적 치료 ; (클린, 맞춤정맥영양해독주사 & 맞춤 기능의학식품 및 메디칼푸드 처방 & 자세교정)
에스트로겐 우세증으로 인한 질병들
에스트로젠 우세과 관련된 질환은
– 알러지(천식, 두드러기, 피부 발진, 부비강 충혈)
– 자가 면역 질환(SLE, 하시모토갑상선염)
– 유방암
– 구리 과다 및 아연 결핍
– 자궁 내막증, 자궁 내막암
– 담낭 질환
– 인슐린 저항성(Syndrome X)
– 불임
– 다낭종 난소(Polycystic Ovaries)
– 폐경 증상
– 마그네슘 결핍
– 골 다공증
– PMS (생리 전 증후군; Pre-menstrual syndrome)
– 폐경 전 증후군(Pre-menopausal syndrome)
–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유사한 상태(Hypothyroid-like condition)
– 전립선 암
– 자궁 근종(Uterine fibroids)
에스트로겐 우세증(호르몬 불균형) 치료 전략
- 여성 생리주기를 정상화해야 한다,,
Follicular phase 발현 정상화하는 방법.. FSH > 에스트로겐 분비 > LH surge >> 황체기 정상화 .. 3-4개월 치료 - HPG support
- HPA support
- liver detox
1. HPO 축 교정하기/HPG(O) support
1, Chaste tree (상품명 ; 프리페민정) ;
뇌하수체 시그날을 정상화 시키는데 도움, 모든 여성호르몬 불균형에서 HPO축을 정상화 시킨다..
황체 형성 호르몬(LH)의 방출을 촉진하고, 건강한 배란을 유도, 결과적으로 프로게스테론(월경 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호르몬) 수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짧아진 황체기를 교정한다.
프로락틴 상승을 억제한다
과다한 생리양을 교정한다
생리과다나 생리량 부족을 교정한다
수유기에도 사용 가능하다
피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6배 고용량을 사용하면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증, PCOS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PMS에 매우 효과적이다. 배란주위에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기켜주고, 여성호르몬/생리와 관련된 여드름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2. 트리뷸러스 허브 ;
생리주기 5일째부터 -14일까지 사용..
- steroidal sapponin으로 사용
- 남성 여성 호르몬 기능을 돕는다
- 뇌하수체에서 LH분비를 자극하여 건강한 배란을 유도함으로서 HPO축을 정상화시켜 에스트로겐 우세증에 도움이 된다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불균형을 교정한다
- DHEA합성 촉진으로 남성도 사용한다
2. HPA 축 교정/ 부신
rehmania(지황), ashiwagnada(인도인삼), echinacea(에크나시아), licorice(감초)
마카
3. liver detox 간해독
schisandra(오미자), milk thisthle(밀크시슬), rosemary
간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는 증후
- 피로
- 체중증가/소화불량
- 메스꺼움과 구토
- 여드름 피부나 가려움, 피부발진
- 호르몬불균형 – 수면 장애, 우울증, 불규칙한 기간, 기분 변화 또는 안면 홍조
4. 에스트로겐 디톡스
정상 체중 을 허용하는 건강한 생활 방식 은 대사 증후군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아로마타제 활성을 증가시켜 테스토스테론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시키고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을 감소시켜 더 많은 양의 자유 순환 에스트로겐을 생성함으로써 에스트로겐 수치를 증가시킵니다. [2] 인슐린 저항성은 또한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증가시켜 섬유종을 포함한 에스트로겐에 민감한 상태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규칙적인 운동과 항염증 보조제 는 에스트로겐이 우세한 상태의 치료에 자주 사용됩니다.
생활 습관도 에스트로겐 배설에 영향을 미칩니다. 채식 을 하는 여성 은 대변 에스트로겐 배설이 3배 증가하고 혈청 에스트로겐 수치는 15%-20% 낮습니다. [3] 장내 세균총의 불균형 또는 장내 미생물총의 불균형도 에스트로겐 우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정 장내 세균의 과증식은 글루쿠론산에서 에스트로겐을 절단하는 효소 베타-글루쿠로니다제 수치를 증가시켜 배출을 방지하고 재흡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2] 식단과 장내 미생물총은 에스트로겐 흡수와 장간 재순환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임상의는 에스트로겐 우세 상태를 고려할 때 장 건강을 다루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식품과 프로바이오틱스로 건강한 미생물군유전체 촉진 .
스트레스 는 또한 신체의 호르몬 수치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신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은 프로게스테론을 포함하는 전구체로 만들어집니다. 높은 스트레스로 인해 코티솔 생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감소하여 체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스트레스 관리를 해결해야 합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건강한 생활 방식은 에스트로겐에 민감한 상태의 위험이 있거나 진단을 받은 여성의 긍정적인 에스트로겐 균형을 지원하도록 권장되어야 합니다.
1.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적당한 운동 을 하십시오.
2. 호르몬 노출을 피하기 위해 항염증제(또는 채식주의자) 식단 을 섭취하십시오. 생선과 아마씨 모두 에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십시오 . 식이 섭취가 충분하지 않다면 매일 EPA( 에이코사펜타엔산 ) 및 DHA( 도코사헥사 엔산 ) 1,000-2,000mg의 오메가-3 보충제 외에도 생강( Zingiber officinale ) 및 심황( Curcuma longa )과 같은 항염증성 식물을 고려하십시오 .
3. 섬유소 가 흡수되는 에스트로겐의 양을 감소시키고 배출되는 에스트로겐의 양을 증가시키므로 고섬유질 식단 을 섭취하십시오. [4]
4. 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방울양배추를 포함한 십자화과 야채를 많이 섭취 하십시오. 식이 섭취가 불충분한 경우 매일 인돌-3-카비놀 300mg을 보충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5. 에스트로겐 대사를 2-하이드로에스트론 수치 증가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체 콩 식품 을 많이 섭취하십시오.
6. 과도한 알코올 섭취를 피하십시오. 이는 에스트로겐 해독을 억제하고 에스트라디올 수치를 증가시킵니다.
7. 제노 에스트로겐 또는 체내 에스트로겐을 모방하는 환경 화합물을 피하십시오 . 예로는 PCB(폴리염화비페닐), BPA(비스페놀 A) 및 프탈레이트가 있습니다.
8. 건강한 장내 미생물군유전체 를 촉진하여 가능한 음식 과민증을 해결하고 필요한 경우 프로바이오틱스를 보충합니다. 식품과 프로바이오틱스로 건강한 미생물군유전체를 촉진하는 Whole Health 도구를 참조하십시오 .
9. 스트레스 관리 에 대한 건전한 접근 방식에 참여하십시오 . 대처 기술, 이완 운동 및 심신 연습을 고려하십시오.
에스트로겐 디톡스
에스트로겐 디톡스
1) 에스트로겐 생산 줄이기 : 지노에스트로겐 환경호르몬 디톡스, 천연프로제스테론, 멜라토닌
2) 에스트로겐 대사 촉진 : DIM 에스트로겐 대사
3) 메틸레이션
멜라토닌은 밤 2~3시 사이에 뇌의 송과선에서 가장 분비가 높아져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을 잘 알려져 있습니다.
뇌의 한 가운데 송과선 (Pineal gland)에서 어두워지면 분비가 촉진됩니다.
멜라토닌의 여러 장점 중에서 에스트로겐을 낮추고 프로게스테론을 높힘으로, 에스트로겐 우세증이 개선됨에 관해 소개합니다
밤에 충분히 수면을 취하지 못해, 멜라토닌이 부족하게 되면 에스트로젠의 작용을 높혀서 유방암을 쉽게 발생시킨다는 내용입니다. 야간 근무를 하는 여성 간호사들에게 문제가 된다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그런데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송과선을 특별히 잘 공격하는 환경적인 요인이 있습니다.
바로 불소 입니다.
불소는 치약이나 물 소독에 많이 사용되는 물질인데 아래와 같이 송과선을 잘 불활성화 시켜서 멜라토닌의 분비를 막습니다
이 문제에 관해, 어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1. 요오드 섭취입니다.
요오드는 아래와 같이 불소와 같은 할로겐 족 원소이기 때문에 화학적 성질이 유사합니다.
요오드가 부족한 갑상선 기능 저하의 여성분들은 불소가 들어갈 자리에 요오드가 대신 들어가게할 기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더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요오드를 부족하지 않게 해주면 유방섬유종도 막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2. 커큐민 섭취입니다.
커큐민이 불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가 상당히 많습니다.
커큐민은 뇌 뿐만 아니라 갑상선이나 간의 불소 축적도 막는 것으로 연구되어 있습니다.
평소에 충분히 수면을 취하고 커큐민을 즐겨 먹는 것이 멜라토닌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에스트로겐 우세 관련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유방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1가지 전략
1. 에스트트로겐 수용체를 막아라
- 폐경전 ; 타목시펜 –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은 여성에서 약 50% 발병위험 감소
- 천연물질 ; 대두 아마씨
2. 좋은 지방을 먹자
- 오메가6 ; 오메가3 = 1:1, 1:4비율로 먹자
- 산화된 불포화지방산이 문제다..
- 오메가3지방산 – 에스트로겐 간대사시 2OH-E 증가, 에스트로겐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붙는것 을 방해하는 효과, 에스토겐 관련 암의 성장을 억제하고, 결핍시 전이가 5배 높아진다(폐전이 막아준다), 인슐린 저항성 개선하여 유방암 예방 효과,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 트랜스지방 ; 유방암 발생율 40% 증가
- Fatty Red Meat – 유방암 발생 위험 25%이상 증가, 햄버거, 비프스테이크, 베이건 요리 중 발생하는 카시노겐(heterocyclin amine, nitrosamine) ; 유방암 발병율 4.62배 증가
3. 좋은 여성호르몬으로 대사시키자
- 좋은 여성호르몬인 2OH-E으로 유도하는 식이 영양치료를 하자
- I3C-300mg~500mg, DIM, 십자화과 식물은 하루 2회 이상 섭취
- 콩, 아마씨, 운동, 오메가3, 브로콜리, 양배추 등 십자화과 식물
4. 인슐린을 낮춰라
- 도파민, EGF, TGF-a, 인슐린, IGF-1, AMP는 교차반응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활성화 할 수 있다
- 인슐린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유방암 발생위험이 2.83배 높다
- 암세포에도 인슐린 수용체가 있고 인슐린이 암세포이 성장을 돕는다
- 마른 여성도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다 – 저지방식이를 하더라도 정제탄수화물릉 많이 먹고 섬유소 섭취가 적으면 말라도 체내 인슐린은 높게 유지하기 때문이다
5. 혈중 포도당을 떨어뜨려라
- 정제탄수화물 – 인슐린 상승 – 지방축적 – 아로마타제 – 여성호르몬 생성
- 인슐린은 남은 칼로리를 근육보다 지방으로 저장한다
- 현미 등 덜 가공된 탄수화물을 먹으면 인슐린 농도가 25-30% 감소한다
6.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라
- 섬유소는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를 36% 검소시키고, 유방암 발생 위험을 54%정도 감소시킨다
- 섬유소는 장에서 대사된 에스트로겐 캐리어를 생성하여 장에서 재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 에스트로겐 농도 감소를 위해서는 최소 20G필요
- 암의 예방을 위해서는 35-60G의 섬유소가 필요하다
7.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라
-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면 유방암 뿐만아니라 모든 암을 예방할 수 있다
- 채소는 산화스트레스를 줄여 유방암 발생을 40% 감소시킬 수 있다
- 산화스트레스를 줄이는 양은 개인차가 있다
- 잘못된 채식 – 칼로리를 많이 섭취하고 가공식품, 정제탄수화물(흰밀가루, 흰쌀, 설탕, 과자), 트랜스지방, 산화된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채식주의자라도 질병의 위험이 높아진다
8. 지노에스트로겐(환경호르몬, 호르몬교란물질, 화물물질, 중금속)을 피하라
- 환경호르몬은 유방세포의 에스트로겐수용체에 결합하여 에스트로겐과 같은 증식 작용을 한다..
- 식물보다 동물성 고기(지방에 700배 )에 더 많이 존재
- 그러므로 유방암에 걸려서 치료받는 중이거나 고위험군, 청소년은 되도록이면 동물성 식품은 줄여야 한다
- 유기농 채식 위주의 음식이 가장 좋다
9. 체지방을 줄이자
- 폐경기가 되면서 복부지방은 에스트로겐 공장이 된다
- 비만은 과도한 지방자체가 에스트로겐 생성 공장이 되고 여기에 있는 많은 지용성화학독소는 지노에스트로겐으로 작동해서 유방암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 이상체중보다 5KG 이내로 증가하도록 해야 한다
10. 술을 먹지 마라
- 술은 직접적으로 총 에스트로겐을 상승시키고 free estrogen 농도도 상승시킨다
- 매달 4리터 이상의 와인을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위험이 3.96배 상승한다
- 얼콜은 간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에스트로겐 대사를 막아 체내 에스트로겐 상승을 유발한다
11. 비타민D를 높여라
- 비타민D를 매일 2000IU를 먹으면 유방암 발생 위험이 36%감소한다
- 비타민D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 추천 – 일주일에 3ㅇ회, 1회당 15분 정도의 햇빛노촐을 한다, 유방암예방을 위해서는 최소 1000IU이상의 비타민D를 섭취한다
12. 꾸준히 운동하라
- 최소 주 4시간 이상 운동을 하는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50% 이상 감소한다
- 운동의 에스트로겐에 대한 효과
- 에스트로겐 생성이 감소한다
- 초경의 나이를 늦춘다
- 복부 지방읠 축적을 막는다
- 인슐린 농도를 낮춘다
- 에스트로겐 대사에서 좋은 에스트로겐(2OH-E)의 생성을 높인다
- 운동의 강도
- 젊은 여성은 운동의 강도가 강할 수록 에스트로겐 대사가 좋은 쪽으로 진행한다
- 중년 이후에는 중간 강도의 운동이 인슐린을 안정시키고 체지방을 더욱 더 잘 감소시킨다
A. PMS에 대한 기능의학적 치유
1. PMS 증상과 치료
기본은 Chaste tree(프리페민)
- 불안동반시
– Valerian(설령쥐오줌풀),
불안 불면 restlrss leg synd
– kava(라이칸/LAIKAN 캅셀-한화제약) ; MAO-B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신경을 안전화시킨다, Mesolimbic도파민 뉴런을 활성화, 5-HT뉴런의 활성화
– 승마(Black cohsh) – 시미도나 , 훼라민큐
2. 부기가 있을 때 ;
– 민들레 ; 이뇨작용
3. 통증, 근육통 두통 있을 때
– 유방통 – 달맞이꽃 종자유나 은행잎 액기스
– 월경불량시 백작약 + 감초
- PCOS (백작약+감초)
B. 생리과다/과다출혈에 대한 기능의학적 치유
청소년기와 폐경기에는 위험상황이 될 수 있다.
endometrium이 에스트로겐에 의해서 두꺼워진 상태다.. 에스트로겐 우위.
생리양이 많은 경우는 정상적인 배란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 생리통이 많이 동반된다
- 호르몬 불균형 검사가 피료한다
- 부신호르몬 불균형도 같이 확인한다
- 환경호르몬에 의한 에스트로겐 우세인지 확인 – 환경호르몬, 중금속 검사가 필요하다
- 산부인과 검진+
치료
- 산부인과에서는 피임약을 먼저 사용한다
기능의학적 치유 순서
- 가장 먼저 간해독을 통해 에스트로겐 대사를 촉진 – 배출 촉진
- 부신 호르몬 불균형 교정
- 필요시 HPO축 교정 – Chaste tree, 배란 교정 – 트리뷸러스(생리 5-14일), 자궁/출혈 support – sherpherd purse(출혈교정)
- 철분제 필요시 빈혈교정
C. 자궁근종에 대한 기능의학적 치유
기능의학적로는 사이즈 줄이기 보다는 더커지지 않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한 에스트로겐 우세증 현상이다
지노에스트로겐 과다 노출이 태생기때 혹은 이후 원인가능성 생각하자
요오드 결핍도 생각해야 한다
1, 기능의학적으로는 사이즈 줄이기 보다는 더 커지지 않게 하는 것들 목표로 치료한다
2. 고용량 Chaste tree 6/day 사용하여 에스트로겐 생성을 줄여준다
3 간해독을 통해서 에스트겐 대사 촉진하여 에스트로겐 줄이기
4. 부신 서포트
- 고용향 chaste tree
- 에크나시아 – 근종 성장억제
5. shperd purse(생리과다), 백작약(섬유화 감소), 은행(통증+섬유성장 감소),
6. 에스트로겐 modulating herb
- 아마씨유, 얌
7. 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