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루타메이트 항상성 및 Ca 2+ 세포내 조절 장애;
(2)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메칠수은 유도 활성산소증가
(3) 세포골격 파괴;
(4) DNA 손상;
(5) SER 기능장애; ER스트레스로 UFP 생성 증가
(6) 티올 고갈(특히 글루타티온)
초기에는 만성피로, 어지러움, 우울증, 불안, 초조, 불면증, 식욕부진, 잇몸염증 및 출혈, 등이다.
조금 더 심해지면 각종 알러지,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고혈압, 협심증, 관절염, 체중감소, 환상, 악몽, 피부각화 증상이 일어난다.
말기에는 간질, 다발성경화증, 언어장애 등 중추신경장애가 생긴다.
수은 중독의 원인으로는 곰팡이 제거제를 사용한 곡물류, 폐광주변의 석탄으로 오염된 토양, 오염된 바다에서 자란 생선류 및 조개류, 오염된 수돗물, 화장품, 염색약, 의약품으로 제초제, 살충제, 소독제, 기압계, 온도계, 형광등, 치과용 아말감으로 우리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것이다.
수은의 경우 치과용 아말감, 수은 체온계, 수은 전지, 농약, 형광등 제조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여러 산업용 공장에서 수은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 과정 중 직접적으로 노출이 되기 마련입니다.
특히, 우리가 자주 섭취하는 참치나, 황새치 같은 생선에도 유기수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과량섭취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수은의 경우 물이나 토양, 공기등을 오염시키고 식물이나 생선 등에 축적이 되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나, 주의하셔야 합니다.
수은은 신장, 간 그리고 혈액, 뇌 장벽을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뇌에 축적이 가장 많다.
면역세포를 파괴하여 자가 면역질환을 일으킨다. 위장관 점막을 악화시켜 위궤양이나 위암 발생률을 높이며 알레르기 증상, 가려움증과 같은 피부병을 유발한다
수은은 임신 중에 태반을 통해서 태아에게 손상을 입히거나 혹은 수유를 통해 엄마로부터
아이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임신 중의 수은 중독은 태아의 발달 장애나 뇌신경장애를 일으키는 심각한 현상이다.
◎ About, 중금속 중독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건강진단시 별 문제가 없는데도 계속 불편하거나 만성피로로 시달리시나요?
□ 말로는 잘 설명할 수 없는 불편한 기분이나 몸 상태로 불편하시나요?
□ 잇몸 질환, 원인불명의 피부질환, 원형탈모 같은 자가면역질환, 천식, 고혈압, 암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나요?
□ 혈색이 좋지 않다는 말을 듣거사 어지러움을 자주 느끼시나요?
□ 집중력 저하, 건망증 등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시나요?
(어린이의 경우 학습능력 저하, 발달지연 등이 나타나는 경우… )
□ 감정기복이 심하고, 신경질, 짜증이 많은 편이나요?
□ 충치 치료용 아말감으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나요?
□ 단것, 캔음료를 자주 마시거나 편식을 하는 편이나요?
□ 참치 등 생선회나 조개 등의 어패류를 자주 드시는 편이나요?
좌측 항목중 3개 이상 해당시 중금속 축적 및 미네랄 불균형이 의심되니 기능의학클리닉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의 하세요
아래의 증상이 있다면 당신도 해독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① 자도 자도 피곤하다
② 주말이면 시체처럼 퍼져 있는데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③ 눈 흰자위가 탁하고 피부가 칙칙하며 부석부석하다
④ 과로나 과음 후 회복이 느리고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⑤ 몸이 늘 무겁고 전체적으로 부은 느낌이다
⑥ 감정과 의욕의 기복이 부쩍 심해졌고 머리속이 자주 멍해진다
⑦ 매일 시원하게 변을 보지 못하고 속이 더부룩하다
⑧ 아무리 적게 먹고 많이 운동을 해도 군살이 빠지지 않는다
⑨ 사시 사철 감기와 알레르기를 달고 살고, 잘 회복되지 않는다
⑩ 달콤하거나 짭짤한 간식, 밀가루 음식과 유제품이 심하게 당긴다
중금속해독 IVNT(글루타치온 + 메탈로티오네인 해독)
파이토케미칼에 의한 MeHg 효과의 완화와 관련된 가능한 메커니즘에는 ROS 생성 감소, 효소 항산화 시스템의 활성화,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복원 및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의 조절
3일복용후 11일 쉬거나 5일 복용후 9일 휴지기 방법으로 20-25회 반복
10-30mg/kg/day #3-4 (2.0g 이상 금지)
5회 시행후에 소변검사
여려해 동안 20-25회 정도 치료하며 휴지기 종안 저용량의 아연 구리 몰리브덴 망간 보충해서 미세미네랄 결핍을 예방해야 한다
마그네슘의 고갈을 피하기 위해서 Mg sulfate를 고용량 투여한다
2. NAC – 엔아세틸시스테인 ,, 가래 거담제로 사용중
3. 리포산.. 치옥틱산
25mg에서 3-4번의 DMSA를 하고 부작용이 없거나 거의 있으면, DMSA의 각 용량에 ALA12.5mg을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중금속과 대사길항 영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