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독을 통한 7코어 자연치유력의 복구와 만성난치성 질환의 자연치유 전략?

간해독
A 간해독 조건 만들기 및 배출환경/통로 조성하기
독소배출 통로 확보하기 –명현현상줄이는 방법
대변 –섬유소,프로바이오틱스,올리브오일–bile juice
땀 –운동,As, Cd, Pb,Hg
소변 –충분한수분섭취
B. 간해독 및 부족영양소 공급
영양소부족해결 –글리칸함유 MAC다당체, ,항산화제, 비타민, 미네랄등
– 글루타치온 & AA + cofactor, Lipoicacid, Se, Zn,
– 독소가 심하지 않아도 해독영양소 및 항산화제의 결핍도 해결해야 한다
1) 간해독효소 Phase I 과 Phase II의 균형이 중요하다
– 글루타치온이 1과 2 에서 key 영양소다
– 불균형( Phase I 증가/II감소) : 활성산소 증가, 중간대사물 증가 ->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
Ez Up-reulation I : 단식, 저칼로리다이어트, 알코올, 흡연, – 만성질환자는 굶으면 안된다
단식 때 Phase I 활성도가 기하학적으로 증가 – 만성질환자에서 굶거나 최소영양요법은 phase I 이 증가하여 활성산소 증가,,,,, phase II 는 도와주지 않으므로 중간대사물도 증가 즉, 활성산소 및 중간대사산물 증가
Ez Down-reulation I : cimetidine, fluoxetine, 자몽, 실리마린
Ez Up-reulation II : 실리마린, 밀크시슬, 그린티추출물, 커큐민
파이토케미칼은 1은 안올리고 2만 많이 증가시켜 해독력을 증가시킨다..
1은 조금, 2를 많이 올리는 해독 천연성분이 중요
ⓐ 십자화과 I3C DIM
ⓑ Citrus food – 펙틴
ⓒ tumaric
ⓓ ellagic acid – 베리류, 카테킨 포도추출물 EGCG 브로콜리
dysbiosis시는 conjugation감소되어 해독력이 감소한다
2) 1단계 해독
비극성, 지용성을 극성 수용성으로 구조를 바꾸어서 conj준비하는 단계
산화, 환원, 수화과정을 이용한다.
이 과정에 필요한 영양소
B2, B3, B6, B9, B12, 글루타치온, BCAA(류신/이소류신/ 발린), 플라보노이드, 포스포리피트(레시틴)
3) 중간대사물 생성
1단계 해독후 발생한 활성산소와 중간대사물은 아주 독성이 강한 산화적스트레스로 작동하므로 반드시 항산화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이 과정이 잘못되면 간이 많이 손상되고 해독이 실패하게된다.
이 과정에 필요한 영양소
비타민A, C, E, 셀레니움, 구리, Zn, 마그네슘, Coq10, thiol(생강, 양파,십자과식물), 플라보노이드, 실리마린, pycnogenol
4) 2단계 해독(conjugation)
중간단계 대사물에 아미노산을 붙여서 수용성으로 만드는 단계
필요한 영양물질 – 글루타치온, 글리신, 타우린, 글루타민, 오르니틴, 아르기닌, 메칠레이션
NAC, cysteine, 메티오닌
phaseII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중간대사물이 증가하여 세포내의 DNA, RNA,손상, 단백질손상, 당단백, 당지질합성 방해하거나 손상을 주어 암, 만성질환 치매 파킨손 병야기
Xenobiotics는 Phase I 정상대사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되는 ROS보다 더 많은 ROS을 생성ㅎㄴ다
– 세포내 기본 항산화시스템인 SOD, CATALASE, GSH에 의해 방어, 부족시 산화스트레스로 작동
C. 3단계 해독
Phase III – The antiporter
장의 villi에 존재, 독소가 세포내로 들어와서 대사되지 않으면 다시 장으로 되돌려 보내고, 이것이 다시 세포내로 들어와서 대사가 될수 있게 하는 해독 시스템, intestinal phase I CYP3A4와 협력하여 해독한다..
Phase III metabolism ; The antiporter
3단계 해독 시스템 ; antiporter , P-glycoprotein
P- 당단백질(해독펌프 당사슬)
세포로부터 환경 유해물질 제거하는 펌프(permeability pump)
장, 간, 콩팥, 뇌(BBB : blood barin barrier)에 존재하는 세포막 당단백질로 독소, 약물, xenobiotics 등을 배출하는 기능
P-당단백질은 장 상피에서 광범위하게 분포되고 발현되어 생체이물을 장 내강으로 다시 펌핑합니다. 그것은 또한 독소를 담관으로 펌핑하는 간 세포, 소변 전도관으로 펌핑하는 신장의 근위 세뇨관 세포, 혈액-뇌 장벽 및 혈액-뇌 장벽을 구성하는 모세관 내피 세포에서 발견됩니다. 고환 장벽, 여기에서 모세혈관으로 다시 펌핑됩니다.
항포터 활성은 생체이물질의 1차 통과 대사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생체이물질의 세포내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의 총 독소 부하를 감소시킵니다.[ 3 ] 이 에너지 의존성 막횡단 단백질은 또한 1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해독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장에서 이 시스템의 공동 조절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 효소 CYP3A[ 4 ]
소장에서 항포터 활성은 융모[ 5 ] 의 끝에서 발견되며 대사되지 않은 생체이물을 세포 밖으로 펌핑하여 장내강으로 다시 펌핑함으로써 1단계의 총 부하를 줄이고 생체외 해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사된 독소는 순환계로 운반됩니다.
3단계 해독
항포터 시스템은 주로 I상 및 II상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1차 통과 대사에서의 역할을 통해 설명되지만 동일한 유출 펌프는 II상 접합 후 간세포에서 친수성 대사 산물의 수송도 담당하므로 참조됩니다. 해독의 3단계로. 따라서, 항포터 시스템은 2상 후 접합 대사산물의 수송 기능과 생물학적 전환 전 독소 제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3상 용어와 함께 이중 기능을 합니다.
폐기물 제거
접합된 생체이물과 독소는 배설될 수 있도록 항포터 시스템에 의해 담즙과 장 내강으로 펌핑됩니다. 이 단계에서 이러한 화합물의 효과적인 제거는 식단과 미생물총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베타-글루쿠로니다제, 설파타제 및 베타-리아제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이러한 대사산물의 탈접합은 장간 재순환을 초래하여 독소를 간으로 되돌려 보내 다시 한 번 생체 변형 과정을 거칩니다.
GI관에 상주하는 박테리아는 이러한 효소의 생산에 주로 책임이 있으며, 베타-글루쿠로니다아제는 특히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며, 글루쿠로나이드가 담즙으로 배설되는 생체이물 접합체의 가장 큰 부류라는 사실로 인해 GI관 전체에 존재합니다. [ 6 ] 이 과정은 Clostridium perfringens 뿐만 아니라 Escherichia coli 및 Klebsiella sp.[ 7 ]에 의해 크게 생성된 효소 활성에 기인하며 , 이는 dysbiosis가 대사산물 탈접합 및 장간 재순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증가된 베타-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은 다양한 암, 특히 유방암, 전립선암 및 결장암과 같은 호르몬 의존성 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8 ]
이것의 의미는식이 요법과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가 정상적인 해독 과정을 도울 수 있다는 개념을 추가로 뒷받침합니다.
또한 자몽, 사과, 오렌지, 브로콜리 및 방울 양배추에서 발견되는 영양소인 칼슘 d-글루쿠레이트는 대사 산물인 D-글루카로-1,4-락톤을 통해 베타-글루쿠로니다제 억제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칼슘-D-글루카레이트의 경구 보충은 또한 베타-글루쿠로니다제 활성 [ 9 ] 을 억제 하여 접합된 독소를 적절히 제거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인체 해독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는 환경 및 분석 화학자 인 Chris Shade 박사 에 따르면 3상 기능 장애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특히 장내 염증입니다. 3상이 차단되면 음성 피드백 루프는 2상 효소의 하향 조절을 초래합니다. 단계 I에서 생성된 중간 대사 산물은 축적되어 해독 능력을 더욱 손상시키는 산화 손상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10 ]
여기서 임상 목표는 염증을 줄이고 장내 독소를 결합하며 효율적인 제거를 촉진하여 GI 관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해야 합니다. 치료적 고려사항에는 생체이용률이 높은 커큐민, 클로렐라 및 수용성 섬유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루타티온 및 R-알파-리포산을 포함하는 정상적인 2상 기능 및 항산화 지원에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하는 것도 고려하십시오. 이러한 영양소는 생체 이용률이 낮기 때문에 보다 발전된 전달 시스템에서 제공되지 않는 한 치료 가치가 제한적입니다. 리포솜 기술을 사용하면 이러한 영양소가 나노 크기의 소포로 전달되어 구강 점막을 통한 흡수가 향상됩니다.
인간의 해독 시스템은 세 가지 별개의 단계를 포함하는 섬세하고 복잡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Phase III의 기능과 중요성을 해명한 것은 아주 최근의 일입니다. 이제 해독에 대한 성공적인 치료 관리를 위해서는 이 단계를 회복, 관리 및 증대해야 하며, 이는 건강과 회복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이해합니다.
A 170-kDa transmembrane glycoprotein from the superfamily of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It serves as an ATP-dependent efflux pump for a variety of chemicals, including many antineoplastic agents. Overexpression of this glycoprotein is associated with multidrug resistance (see drug resistance, multiple).
건강한 식단과 미생물군집은 P-당단백질의 성공을 위한 열쇠입니다. 장 염증은 P-당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내독소, 특히 LPS의 생산으로 이어집니다. III상이 손상되면 세포 내 독소 축적이 발생합니다.(18) P-당단백질 발현의 오류는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 관리 및 염증성 장 질환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심됩니다.(19-21)
체외로 독소 배출 통로
담즙산은 지방이 물에 녹을 수 있도록 작은 덩어리로 만들어 소장에서 흡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담즙은 콜레스테롤로부터 만들어지며, 물(97.5%)과 담즙산, 무기질 등으로 구성됩니다.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cholic acid와 chenodeoxycholic acid (CDCA)로 대사되며, 소장에서는 다시 desoxycholic acid (DCA)와 Lithocholic acid (LCA) 그리고 ursodeoxycholic acid (UDCA)로 대사 됩니다. UDCA는 담즙산 전체의 적은 부분(5%)을 차지하고 있는데, UDCA를 복용했을 경우, 용량에 따라 담즙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독성을 나타내는 담즙산(LCA, DCA)과 대체되면서 작용을 나타내게 됩니다. UDCA는 담관 내에 독성을 가진 담즙산으로부터 세포보호작용, 면역반응 변화, 담즙 분비 촉진 등의 작용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간에 쌓이게 될 노폐물과 UDCA가 대체 되면서 간세포의 보호 작용을 하게 됩니다.
2) 기전
b) 7자연치유시스템(7핵심 임상균형) 구조와 기능 이상
– 중금속 및 환경호르몬, 화학성분 침투 증가로 줄기세포와 모든 세포 손상
일반화장품/담배 중단, 중금속, 환경호르몬 해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