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생물학 – 배 발생, embryogenesis
생물학
작성자
미라클클리닉
작성일
2021-09-14 13:26
조회
174
수정란은 난할(Cleavage) 과정을 거치며 여러 개의 할구(Blastomere)를 형성한다.
재밌는 것은 동물에 따라 난할 방식에 차이가 난다는 점인데, 그 점은 나중에 조금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위의 배 발생 과정은 성게의 배 발생인데, 포유류와는 약간 난할 과정이 다르다. 얘들은 방사 난할(Radial cleavage)을 하고 포유류는 회전 난할(Rotational cleavage)을 한다.
어쨌거나, 여기서 16세포기를 보면 아래쪽에 작은 미소할구(Micromere)가 관찰되는데, 이는 성게에서 관찰되는 특징 중 하나다.
(모든 동물이 저렇진 않다는 소리다)
성게의 경우 미소할구들이 식물극(Vegetal pole)에 형성되어 후에 지지골격이 되는 골편(Spicule)을 형성한다.
식물극과 동물극(Animal pole)의 차이는 난자가 생성될 때 극체가 위치하던 곳을 동물극이라 부르고, 반대방향을 식물극이라 부르는게 원칙이다.
단황란의 경우 식물극 쪽으로 난황이 치우쳐져 있으며 할구의 크기도 제법 크게 나타난다.
그런데 왜 식물극과 동물극인가? 하면, 동물극에서 비교적 난할이 활발하게 나타나며 식물극에서는 상대적으로 조용하기 때문이다.
아니 왜요? 난황은 영양분이다. 난황이 들어차있다는 말은 곧 양분의 저장소라는 의미를 뜻하기도 하고, 실제로 난황에 밀려(…) 실제 세포 활동에 사용하는 세포 소기관이나 핵, 세포질 성분들이 동물극에 비해 부족하기도 하다.
재밌는 것은 동물에 따라 난할 방식에 차이가 난다는 점인데, 그 점은 나중에 조금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위의 배 발생 과정은 성게의 배 발생인데, 포유류와는 약간 난할 과정이 다르다. 얘들은 방사 난할(Radial cleavage)을 하고 포유류는 회전 난할(Rotational cleavage)을 한다.
어쨌거나, 여기서 16세포기를 보면 아래쪽에 작은 미소할구(Micromere)가 관찰되는데, 이는 성게에서 관찰되는 특징 중 하나다.
(모든 동물이 저렇진 않다는 소리다)
성게의 경우 미소할구들이 식물극(Vegetal pole)에 형성되어 후에 지지골격이 되는 골편(Spicule)을 형성한다.
식물극과 동물극(Animal pole)의 차이는 난자가 생성될 때 극체가 위치하던 곳을 동물극이라 부르고, 반대방향을 식물극이라 부르는게 원칙이다.
단황란의 경우 식물극 쪽으로 난황이 치우쳐져 있으며 할구의 크기도 제법 크게 나타난다.
그런데 왜 식물극과 동물극인가? 하면, 동물극에서 비교적 난할이 활발하게 나타나며 식물극에서는 상대적으로 조용하기 때문이다.
아니 왜요? 난황은 영양분이다. 난황이 들어차있다는 말은 곧 양분의 저장소라는 의미를 뜻하기도 하고, 실제로 난황에 밀려(…) 실제 세포 활동에 사용하는 세포 소기관이나 핵, 세포질 성분들이 동물극에 비해 부족하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