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방향 도로 ; 신진대사와 신호의 상호 조절

세포 정보전달 시스템 양방향 도로: 신진대사와 신호의 상호 조절 A two-way street: reciprocal regulation of metabolism and signalling K. Wellen, C. Thompson Published 1 April 2012 Biology, Computer Science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cellular signalling and metabolism are not just separate entities but rather are tightly linked. Although nutrient metabolism…

줄기세포 피부재생 과정과 필요한 영양소

피부노화 (1) 표피재생력은 나이듦에 따라 떨어져 건조를 일으키고 표피층의 재생주기(각질탈락주기)는 나이가 들수록 점점 길어집니다. (20대 3-4주, 30대 약 40일, 40대는 약 50일, 50대는 60일) (2) 진피재생력은 나이듦에 따라 즉 나이듦에 따라 줄기세포의 성장인자 생성능력, 콜라겐, 히알루론산의 생성능력이 떨어져 30대가 되면 20대 재생력의 약 25%가 감소하고 40대초에는 약 50%,  40대후반-50대초에 이르면 약 75%가 감소됩니다 7코어 자연치유시스템 7코어 자연치유시스템 – 복구/재생시스템, 줄기세포 관여 줄기세포 상식 – 탈모…

Obesogen

환경호르몬 – Obesogen 생활속 환경호르몬    일상 생활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유해인자로는 수은, 납 등의 중금속을 함유한 대기오염물질, 자동차 매연, 담배연기, 플라스틱 관련 유해물질, 농약 및 살충제 등이 있다. 이 물질들은 이미 공기, 토양, 물, 식품 등에 널리 퍼저 있고, 특히 세제, 화장품, 식기 등과 같은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는 개인 관리용품들 통해 인체내로…

미세플라스틱과 POPs

환경호르몬/내분비교란물질 ; 미세플라스틱 생활속 환경호르몬  산업이 발전해감에 따라 환경오염은 더욱 심해져 만성질환 주요 원인 중 외인성 독성물질 중독(잔류성유기오염물질, 과불소화합물, 중금속, 플루오르화 화합물 등) 이 급격히 증가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독성물질은 음식, 공기, 및 환경을 통해 체내로 유입되며 우리 몸에서는 해 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적인 축적이 됩니다. 이러한 축적으로 인해 면역 및 신경 퇴행성 질환, 암,…

우라늄 중독

우라늄 중독의 기능의학적 치유 우라늄은 중금속이며 우리 몸에서 다른 중금속(예 : 몰리브덴, 납 또는 수은)과 유사하게 거동하고 반응한다.(Kathren and Burklin 2008).  따라서 우라늄 노출기준은 방사능이 아닌 중금속으로서 우라늄이 갖는 화학적 독성에 기초한다. (NCRP 1989, U.S. NRC 1992).  미국에서 우라늄 생산과 사용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우라늄 중독으로 인한 사망 또는 영구적인 인명 피해는 아직까지 보고 된 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