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ammatory Bowel Disease ; 크론병 & 궤양성대정염
뮤신장벽의 중요성
뮤신이란? 인체에서 분비되는 점액에 끈기를 부여하는 물질로, 단백질의 흡수를 촉진시키고 위벽을 보호하며 장내 윤활제 역할을 하는 당단백질
아미노산 세린/트레오닌에 당영양소인 엔아세틸칼라토사민, 푸코스, 글루코스, 엔아세틸글루코사민, 만노스 등이 효소에 의해 당화(glycosylation)로 연결되어 뮤신 같은 당단백질(glycoproein- 당사슬)을 만든다
뮤신(mucin)은 점액의 한 성분으로 점액의 점성을 주는 물질이다. 뮤신은 탄수화물(당) 코팅에 의해 둘러싸여진 당단백질. 인체의 모든 소화 기관에는 뮤신이 분비되는데 의학적 정의로는 “동물의 몸에서 합성된 끈기가 있는 끈적끈적한 물질”을 말한다.
침이 약간 끈적끈적한 것은 침 속에 있는 뮤신때문이며, 위벽에서 분비되는 뮤신은 단백질의 흡수를 촉진하는 동시에 단백질로 된 위벽이 분해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 대장에서 분비되는 뮤신은 장내에서 윤활제 기능을 하여 장 내강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매끄럽게 잘 떨어지게 한다.
뮤신 함유식품 – 장어, 미꾸라지, 연근, 마, 토란, 닭날개, 달팽이
대표적으로 장어 껍질의 끈적끈적한 점액, 연근을 얇게 자르면 가는 실처럼 끈끈하게 엉겨있는 물질이 뮤신이다. 뮤신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에는 마, 우엉, 장어, 미꾸라지 연근 등이 있다.
장어 껍질의 끈적끈적한 점액, 연근을 얇게 자르면 가는 실처럼 끈끈하게 엉겨있는 물질이 뮤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