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유전자 라스(Ras)에 의한 암 줄기세포 활성화 기전 규명…연세대학교 최강열 교수, 김태일
암줄기세포
작성자
미라클클리닉
작성일
2021-10-02 13:12
조회
18
국내 연구팀이 암의 재발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암 줄기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밝혀냈다. 대표적 발암유전자이자 항암제 개발에 가장 큰 걸림돌로 알려진 라스**단백질이 암 줄기세포 활성화에 관여함을 규명한 것으로 동 성과는 암 줄기세포 표적항암제 개발 등 후속연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 : 암세포의 기원이 되는 세포로 무한히 생존하며 암 유발, 재발,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짐. 동 세포를 제어하는 항암제 개발에 관심 고조
** 라스(Ras) : 세포성장신호를 조절하는 스위치 단백질로 대표적 발암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기면 세포가 무분별하게 증식하면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연세대학교 최강열 교수팀이 동일 대학 의대 김태일 교수팀과 함께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誌 2월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한편, 저널의 편집자리뷰(Editorial)에서는 동 성과의 중요성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는 등 연구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출처: [BRIC Bio통신원] 발암유전자 라스(Ras)에 의한 암 줄기세포 활성화 기전 규명…연세대학교 최강열 교수, 김태일 교수팀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240581 )
*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 : 암세포의 기원이 되는 세포로 무한히 생존하며 암 유발, 재발,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짐. 동 세포를 제어하는 항암제 개발에 관심 고조
** 라스(Ras) : 세포성장신호를 조절하는 스위치 단백질로 대표적 발암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기면 세포가 무분별하게 증식하면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연세대학교 최강열 교수팀이 동일 대학 의대 김태일 교수팀과 함께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誌 2월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한편, 저널의 편집자리뷰(Editorial)에서는 동 성과의 중요성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는 등 연구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출처: [BRIC Bio통신원] 발암유전자 라스(Ras)에 의한 암 줄기세포 활성화 기전 규명…연세대학교 최강열 교수, 김태일 교수팀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2405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