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간통신2
생물학
작성자
미라클클리닉
작성일
2021-09-14 13:36
조회
61
여기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어떤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Cell signal transduction pathway)들을 통해 신호가 세포 내부로 전달되는가를 살펴보려 한다.
물론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의 종류는 꽤나 다양하며, 세포마다 신호의 종류마다 천차만별이므로 일반화시키기가 극히 어렵다.
그렇지만 비슷비슷한 것 끼리 묶어서 몇 가지로 분류가 가능한데, 당연히 모두 설명하는 것은 무리고(…) 가장 잘 알려진 몇 종류만 알아볼 것이다. 당신은 지금까지 배운 신호 전달 경로의 갯수를 기억하는가?
먼저 살펴볼 것은 MAPK/ERK 경로다. 수용체는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RTK, Tyrosine kinase receptor)이며, 리간드가 수용체에 결합하면 수용체의 C-말단부의 티로신이 인산화되면서 개시된다.
물론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의 종류는 꽤나 다양하며, 세포마다 신호의 종류마다 천차만별이므로 일반화시키기가 극히 어렵다.
그렇지만 비슷비슷한 것 끼리 묶어서 몇 가지로 분류가 가능한데, 당연히 모두 설명하는 것은 무리고(…) 가장 잘 알려진 몇 종류만 알아볼 것이다. 당신은 지금까지 배운 신호 전달 경로의 갯수를 기억하는가?
먼저 살펴볼 것은 MAPK/ERK 경로다. 수용체는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RTK, Tyrosine kinase receptor)이며, 리간드가 수용체에 결합하면 수용체의 C-말단부의 티로신이 인산화되면서 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