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저하가 만성 난치병에 미치는 영향 Ⅲ
assimilation(위장관불균형)
작성자
미라클클리닉
작성일
2021-08-24 14:56
조회
9
위산분비의 억제
음식이 위속으로 들어가면 이미 먼저 있던 소량의 위산을 중화시킨다. 음식물이 내려가면서 전정부의 pH가 3.0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gastric 및 cephalic phase를 자극에 의하여 가스트린이 분비된다. 음식을 섭취한 후 1시간이 되면 위산분비 속도는 최고로 올라가고 음식의 위산에 대한 완충효과도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어 대부분의 음식은 십이지장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 결과 위속의 산의 농도가 증가되게 된다. 전정부의 pH가 다시 떨어지면 가스트린의 분비가 억제되고 위산의 분비를 자극하는 요소가 없어진 상태가 된다. 수동적인 음성 되먹임 기전은 위산의 분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위속의 pH가 감소되면서 분비되는 somatostatin은 또한 직접적으로 위벽세포에서의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고 ECL세포에서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한다. 위산의 분비속도와 pH 및 위속의 내용물의 양과의 관계는 그림 11에 잘 정리되어 있다.
음식이 위속으로 들어가면 이미 먼저 있던 소량의 위산을 중화시킨다. 음식물이 내려가면서 전정부의 pH가 3.0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gastric 및 cephalic phase를 자극에 의하여 가스트린이 분비된다. 음식을 섭취한 후 1시간이 되면 위산분비 속도는 최고로 올라가고 음식의 위산에 대한 완충효과도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어 대부분의 음식은 십이지장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 결과 위속의 산의 농도가 증가되게 된다. 전정부의 pH가 다시 떨어지면 가스트린의 분비가 억제되고 위산의 분비를 자극하는 요소가 없어진 상태가 된다. 수동적인 음성 되먹임 기전은 위산의 분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위속의 pH가 감소되면서 분비되는 somatostatin은 또한 직접적으로 위벽세포에서의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고 ECL세포에서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한다. 위산의 분비속도와 pH 및 위속의 내용물의 양과의 관계는 그림 11에 잘 정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