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독소(Glycation End Product)

◈ 비효소적 당화(glycation), 갈변반응과 피부노화

(1) 비효소적 당화(glycation), 최종당화산물(AGEs) 이란?

최근 연구에서 비효소적 당화(glycation) 현상이 노화 및 질병(당뇨합병증, 동맥경화)의  유발 과정에 깊이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지고 여드름이나 피부노화의 기전에도 작용한다고 밝혀지고 있다.

 

 비효소적 당화(Glycation)는  우리 몸, 피부 등에 있는 단백질(콜라겐, 엘라스틴), 핵산(DNA), 지질 등에  당(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의 carbonyl grouup)이 효소작용 없이( 비효소반응) 공유 결합하여 단백질의(amino group(특히 아르긴과 라이신), 핵산산(nucleotides), 지질의 물성이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때 생성되는 당화산물(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은 축적되며 노화와 함께 증가된다..

glycation은  non-enzymatic glycosylation이라고도 한다.

– 당독소, AGEs,  종류  

      1. CML(N-carboxymethyl-lysine)  음식을 통해서 들어옴
      2. Pentosidine
      3. 1,2-dicarbonyl precursor compounds glycoxal
      4. MGO(Methylglyoxal) – 인체내에서 만들어지는 당독소

(1) 비효소적 당화(glycation), 최종당화산물(AGEs) 이란?

*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accumulate in tissues of living organisms with age

AGE-containing proteins do not fold/function properly, are not properly recycled, and may cause a number of disease conditions associated with old age

 

  • 당화(Glycation)로 생성된 최종당화산물(AGEs)은 프리라디칼 공장 역할을 하고 세포 염증을 유발하며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당화손상을 일으킨다. 최종당화산물(AGEs) 중 일부는 주변의 단백질(콜라겐),  즉 우리몸의 조직과 기관등의 공유 교차결합을 일으켜 기능을 잃게하고 딱딱하게 굳게 만들어 노화를 일으키고 당뇨합병증, 동맥경화, 치매, 암 등의 발증에 관여한다..
  • 최종당화산물(AGEs)은 음식으로 흡수되거나 체내에서 생성되며 피부, 페, 간, 공팥, 뇌, 혈관,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들의 AGEs수용체에 붙어 당화손상과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단백질-AGEs 들간의 공유 교차반응으로 손상이 심해지며 산화적 스트레스와 함께 세포손상을 일으켜  노화와 여러 노화와 관련된 질환을 발생시킨다.
  •  최종당화산물(AGEs)들 간의 교차반응(cross-linking) 발생 :  교차반응이 발생된 최종당화산물(AGEs)은 콜라겐, 혈색소, AGE수용체[RAGE], 세포구조 들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켜서 이들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 당화(glycation) 현상도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와 더불어  피부노화와 노화와 관련된 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 식품의 요리시 가열할 때 생기는 황색 변성과정도 당화현상 중 하나이며 생체 내에서도 천천히 발생한다.
  • 당화 현상과 노화, 자외선손상과는 비례하여 발생한다. 즉 나이들면, 자외선손상을 받으면  당화현상이 심해진다.           : 자외선 손상 –> 피부장벽손상, 염증, 지질산패 발생  –> 활성산소 발생  –> 당화현상 증가  –> ECM(결체조직 –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의 손상을 일으키고  재형성/재생을 방해한다 –> 노화촉진
  • 우리 몸의 산화적스트레스/활성산소와 최종당화산물(AGEs)에 의한 손상과 축적은 당화를 일으키는 흰설탕(white sugar)나 액상과당(캔디과자빵종류탄산음료)이 들어 있는 음식과 이미 만들어진 최종당화산물(AGEs )이 포함된 음식(도넛바베큐된 고기케이크콜라, dark colored soda pop )의 섭취에 비례하여 발생한다.
  •  
  • 최종당화산물(AGEs) – ⓐ 혈관의 투과성 증가  ⓑ NO의 역할을 방해하여 혈관확장을 막는다 ⓒ LDL를 산화시킨다 ⓓ 마크로파지, 혈관내피세포 등의 세포와 결합하여 여러 염증물질(사이토카인)를 분비시켜 염증을 악화시킨다  ⓔ 활성산소의 발생을 증가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진시킨다.  
  •  AGEs와 활성산소가 병함되면 더 파괴적인 산화적 스트레스로 작동되어 세포손상을 일으킨다
  •  기본 항산화방어시스템 역할을 하는 SOD(Superoxide Dimustase)와 GSH Reductase 활성감소와 글루타치온 감소시킨다

(2) 외부의 비효소적 당화와 당화산물(AGEs ) : 식품의 가공, 저장, 조리 과정에서 발생

당과 단백질, 지방을 120도 이상의 온도에서 요리하거나 낮은 온도로 오랜기간 요리할 때 당화와 당화산물이 발생된다

 *   Gylcation/Maillard(마이야르)반응   요리시 열에 의해서 환원 당과 아미노산의 비효소적인 화학반응으로 갈색(browning)으로 변하는 일종의 당화반응 –  예, 구운 갈색 빵,  보온 밥솥에 장기간 보온시 노란 밥,  닭튀김

* 요리중에 당화반응으로 암유발불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당분과 아스파라긴산에서 만들어지는 아크릴아미드(Acrylamide)주로 맛있는 감자 튀김 조리시 생깁니다..

 

* 과거에는 외부에서 만들어지는 당화나 당화산물(AGE) 등이 질환과 염증 등에 관여하지 않는다 생각했으나 최근에는 음식산업의 발전으로 당화반응, Caramelization, 외부 당화산물의 첨가 등으로  염증과 산화적 스트레스, 체내 당화 촉진 등으로 노화와 당뇨합병증, 동맥경화의 발병에 관여한다

 

* 외부 당화산물(AGEs)이 고농도로 들어 있는 식품

 예, 구운 갈색 빵, 보온 밥솥에 장기간 보온시 노란 밥, 닭튀김

     – 도넛, 바베큐된 고기, 케이크, 콜라,  dark colored soda pop

 

Glucose and fructose in the blood interact with and crosslink these other proteins in our bodies, forming AGEs that accumulate in our eyes, kidneys, arteries, nerve endings, joints and skin.

(3) 체내의 당화(glycation)와 당화산물(AGEs)

* telomere shortening and decreased proliferative capacity, mitochondrial DNA single mutations, the inflammation theory, and the free radical theory

* 당화 및 활성산소/산화적 스트레스 –> 텔로미어 단축의 야기

내적인 당화(glycation)는 흡수된 단순당(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중의 일부가 혈중에서 당화(glycation)가 일어난다.

글루코스에 비해 프럭토스가 10배 더 비효소적 당화(glycation) 현상이 잘 일어난다.

내적인 당화산물의 생성과 증가는 아래의 이유 때문에 발생한다

ⓐ 정상적인 대사과정 

ⓑ 나이듦

ⓒ 병적인 상황( 비만, 당뇨전 인슐린 저항성, 당뇨에서 고혈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 외적인 당화산물(AGEs)의 섭취(도넛, 바베큐된 고기, 케이크, 콜라,  dark colored soda pop)

ⓔ 자외선손상된 피부에서 더 많이 발생

ⓕ smoking은 AGE 증가시킨다

ⓖ 당뇨와 같은 고혈당 상황에서는 AGE증가

 

3_1) 피부의 콜라겐, 엘라스틴의 당화 -- 피부노화 촉진

우리 인체는 20대 후반부터 당화가 시작되어 매년 당화된 콜라겐 섬유가 3.7%씩 증가되는데 식이에 따라 편차가 있다.     

피부 진피내 콜라겐 섬유나 엘라스틴 섬유 가닥에 포도당과 과당의 공유결합이 발생하여 당화(glycation)이 발생하면  이 경우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교차결합이 증폭된다.

      • 표피세포의 당화가 발생하면 피부의 맑은 투명감이 사라지고 누런 피부를 만든다.
        • 천연보습인자와 세포간지질의 당화가 발생하면 수분 결합, 보유 능력의 감소로 건조와 칙칙함 발생한다
      • 진피층 콜라겐, 엘라스틴의 당화가 증가되면(당화 콜라겐이 증가하면)

ⓐ  콜라겐, 엘라스틴의 기능이 떨어지므로 탄력과 수축력, 탄성이 감소하고

ⓑ 피부가 뻣뻣해지며

ⓒ 자외선 등에 의해 개별 섬유 가닥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 복구하는 기능이 방해를 받게된다. – 재생력이 감소

ⓓ 당화 콜라겐이 증가하면 노화가 진행된다.

ⓔ 특히 단백질과 결합된  설탕류가 많을수록 이런 당화현상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당화 결과물인 AGE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가 축적된다.

    당화산물은 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당화(glycation)이 진행되면 피부도 노랗고 어두운 색으로 보이고 늙은    인상을 보이게 된다

  • 피부단백질의 당화현상 :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는 당화현상 protein glycation과 산화적스트레스(carbonyl stress)이 증가하여 콜라겐, 엘라스틴에 손상을 줘 잔주름과 피부의 탄력감소의 원인이 됩니다

 ⓐ 콜라겐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콜라겐 분해를 촉진시켜서 피부노화와 주름을 악화시킨다.

 ⓑ 천연보습인자와 히알루론산을 손상시켜 건조와 노화를 악화시킨다

 ⓒ 자외선손상, 흡연, 음주 등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악화시킨다.

  • 자외선과 염증은 MMPs를 증가시킨다
    • To control the formation of MMPs:
      AGE Smart products include peptides, MAP, Retinyl Palmitate (Vitamin A) and powerful plant extracts to inhibit the formation of MMPs.

3_2) 당독소는 여드름 악화 원인

AGEs 내분비교란, 염증

반복적인 잘못된 음식(glycation을 일으키는 음식, 최종당화산물AGEs이 포함된 음식),  잘못된 피부관리 습관, 잘못된 제품사용을 장기적으로 하므로 피부의 염증이 만성화된다

당화/당화산물은 장기적으로 염증과 활성산소를 증가시키고 산화적스트레스를 증가시켜서 염증을 더 만성화시킨다.

 만성적인 염증은 세포의 인슐린 감수성을 떨어뜨리고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게 된다

피부장벽 손상과 만성적인 염증은 여드름균이나 바이러스등에 대한 피부면역력을 떨어뜨린다

이런 이유 때문에 화이트헤드나 블랙헤드가 구진성, 화농성, 낭성 여드름으로 진행하게 된다

3) 기타 부위의 Glycation과 당화산물에 의한 손상 - 만성 난치성질환의 원인

AGEs 병리기전?

관련 질환  

ⓐ  심혈관질환 : endothelium, fibrinogen, and collagen 손상

ⓑ   알쯔하이머 : amyloid변성

ⓒ   암 – acrylamide관여 
ⓓ   말초신경병증 – myelin의 당화손상

ⓔ   당뇨 – glycated Hemoglobin(HBA1C)의 증가,  췌장의 베타세포의 당화 손상

당뇨에서 인슐린 저항성 발생 기전

 1)  고혈당환경에서 인슐린 자체가  glycation되어 인슐린 수용체에 붙지 못한다

 2)  비만 지방세포에서 나오는 염증물질(IL-6, TNF알파), 산화적스트레스 들이 췌장 베타세포를 공격, 기능을 떨어뜨린다 –  췌장의 베타세포의 당화 손상

 3)  당화 및 당화산물 –> 염증, 활성산소 증가 –> 세포막 인슐린 수용체(당사슬-당단백) 손상, 기능 감소

 

ⓕ   혈관벽의 콜라겐 당화 손상 –  혈관의 탄력감소 –> 혈압 상승,   혈관의 약화로 동맥류 발생 –> 뇌출혈 증가

ⓖ  심장발작이나 뇌졸증의 위험성 증가 

 

심장발작이나 뇌졸증의 위험성 증가 (기전)

  •  glycation과 당화손상/최종당화산물에 의한 활성산소/염증 –>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으로 동맥혈관 내피세포의 상처 발생
  • 고혈당이 지속되면 LDL도 Glycation된다
  •  LDL-콜레스테롤이 손상된 혈관벽 속으로 유입되어 염증과 산화 발생하여 대식세포를 끌어드리게 된다
  • 대식세포들이 LDL-콜레스테롤을 탐식하여 포말세포(foam cells)이 된다
  • 포말세포는 콜레스테롤을 안전하게 처분 할 수 없어 포말세포가 죽게된다
  • 죽은 포말세포에서 나온 내용물이 활성산소를 만들고 이 활성산소들이 주변 조직을 공격한다
  • 증가된 활성산소와 조직손상은 더 많은 대식세포들을 끌어 당기고 염증을 더 촉발시켜 주변 조직을 더 손상시켜 반흔/상처와 혈관이 좁아지게되어 동맥경화증을 초래한다
  • 심장발장이나 뇌졸증이 증가하게 된다

심장발작이나 뇌졸증의 위험성 증가 (기전)

  •  glycation과 당화손상/최종당화산물에 의한 활성산소/염증 –> 혈관내피세포에 염증으로 동맥혈관 내피세포의 상처 발생
  • 고혈당이 지속되면 LDL도 Glycation된다
  •  LDL-콜레스테롤이 손상된 혈관벽 속으로 유입되어 염증과 산화 발생하여 대식세포를 끌어드리게 된다
  • 대식세포들이 LDL-콜레스테롤을 탐식하여 포말세포(foam cells)이 된다
  • 포말세포는 콜레스테롤을 안전하게 처분 할 수 없어 포말세포가 죽게된다
  • 죽은 포말세포에서 나온 내용물이 활성산소를 만들고 이 활성산소들이 주변 조직을 공격한다
  • 증가된 활성산소와 조직손상은 더 많은 대식세포들을 끌어 당기고 염증을 더 촉발시켜 주변 조직을 더 손상시켜 반흔/상처와 혈관이 좁아지게되어 동맥경화증을 초래한다
  • 심장발장이나 뇌졸증이 증가하게 된다

 1)  혈관내피 당사슬 –  glycoprotein + PG(syndecans) = hiaruronan, HS 

     손상으로부터 혈관내피보호

     내피 당사슬이 손상되면 바로 onset of atherosclerosis

   nitric oxide synthase, SOD 같은효소를 조절하여  내피 당사슬이혈관 방어벽 역할을 하게 한다

    비염증상태에서 당사슬은  혈소판과백혈구의 adherence를 방어한다

    – HA는NO조절하고 내피 당사슬이vacular permeability조절

      Extracelluar SOD는HS에 붙어 있어서 항산화역할로 혈관을 보호한다

     내피당사슬이손상되면 HS에 붙어 있는 Extracellular SOD가 떨어져 나와 농도가 증가

진단) 

  • CRP(C-reactive protein/C반응단백질) – 심장발작이나 뇌졸층의 예측인자로  체내 염증이 높을 때 수치 증가한다

예방 )

  • 운동, 체중감량, 항산화제 복용,  콜레스테롤/지질 저하제 투여
  • 당질영양소 투여
    • 당질영양소들은 면역조절기능, 항감염기능, 자가면역의 교정기능, 항산화기능(유리활성기의 중화, 포말세포의 형성방지, 판형성과 병진행의 중단, SOD와 글루타치온 증가) 을 수행한다
    • LDL,HDL의 apolipoprotein의 Glycosylation ;   합성과정에서 정상적인 당화(glycosylation)이 안되어  단백질과 당질(8가지 glycans)이 결합되지 못하고 당질이 없는 LDL/HDL단백질(unfolding protein)을 생성하여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운반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아진다
    • Sialylation of apolipoprotein 이 CHD예방이 가능하다
    • 엔아세칠글루코사민, 갈락토스, 만노스, NANA(엘아세틸뉴라믹산, Sialic acid)의 부족이나 당화(glycosylation)이 안되면 심장병의 원인이 된다
    • 퓨코스는 혈중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항응고 작용이 있다

(4) 비효소적 당화(glycation)과 당화(glycosylation)의 비교

 비효소적 당화(glycation)

 당화(glycosylation)

1. 관여하는 당질

– glucose포도당, fructose과당

2. 당화 위치  대상

– 우리 몸, 피부 등의 단백질, 핵산, 지질 등

3. 비효소 반응

4. 역할 – 나쁜 당화

: 단백질, 지질, 핵산을 손상시켜 기능을 잃게 만든다

5. Gycation으로 AGEs최종당화산물 생성

ⓐ 활성산소 증가, 염증 증가, 교차반응 증가 세포에

 ⓑ 비가역적 손상을 준다

 ⓒ   SOD와 글루타치온의 활성을 감소시킨다

ⓓ 노화와 질환의 발생

6. glycation  생기는 경우는?

ⓐ 정상적인 대사과정

ⓑ 나이듦

ⓒ 병적인 상황( 비만, 당뇨전 인슐린 저항성, 당뇨에서 고혈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 외적인 당화산물(AGEs)의 섭취(도넛, 바베큐된 고기, 케이크, 콜라, dark colored soda pop)

ⓔ 자외선손상된 피부에서 더 많이 발생

ⓕ smoking은 AGE 증가시킨다

ⓖ 당뇨와 같은 고혈당 상황에서는 AGE증가

7. Glycation 일으키는 질환

ⓐ 심혈관질환 : endothelium, fibrinogen, and collagen 손상

ⓑ 알쯔하이머 : amyloid변성

ⓒ 암 – acrylamide관여 
ⓓ 말초신경병증 – myelin의 당화손상

ⓔ 당뇨 – glycated Hemoglobin(HBA1C)의 증가, 췌장의 베타세포의 당화 손상

ⓕ 혈관벽의 콜라겐 당화 손상 – 혈관의 탄력감소 –> 혈압 상승, 혈관의 약화로 동맥류 발생 –> 뇌출혈 증가

ⓖ 여드름

ⓗ 콜라겐손상 –> 피부노화 촉진

8. glycation  일으키는 음식

1) 당화를 일으키는 음식 :

흰설탕(white sugar)나

액상과당(캔디, 과자, 빵종류, 탄산음료)

2) 최종당화산물(AGEs ) 포함된 음식

(도넛, 바베큐된 고기, 케이크, 콜라,

dark colored soda pop )

9. glycation 줄이는 방법은?

<1> 당화(glycatio) 예방 식이요법 및 습관교정

<2> 당화(glycatio) 예방을 위한 비타민 영양요법,

항산화제, 항당화제

① Vitamin_C, E

     ② 알파-리포익 산(chiotic acid, a-lipoic acid)

     ③ 플라보노이드, 실리마린

     ④ 벤포티아민(Vit B1) benfotiamine, B6

1. 관여하는 당질 : 11가지 필수 당질

glucose, galactose, mannose, fucose, xylose

N-acetylglucosamine, N-acetylgalactosamine,

N-acetylneuraminic acid(NAANA, Sialic acid)

glucuronic acid, arabinose, iduronic acid

2. 당화 위치  대상

– 세포내 단백질 합성과정에서 소포체에서 번역후 변형과정

3. 효소반응

4. 역할 – 좋은 당화

: 단백질, 지질을 안정시키고 생리적 활성을 주고 역할을 확장

5. Glycosylation

ⓐ 글루타치온과 SOD 같은 항산화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줄기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 세포 보호

ⓓ노화와 질환의 예방 역할

6. glycosylation  일어나는 상태는?

ⓐ glycation이 잘 일어나는 상황에

있으면 glycosylation이 잘 되지 않는다

ⓑ 글리칸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  대사정상시 자체공급, 대사문제시 위장관에서 미생물에 의존

ⓒ 대사장애와 염증과 활성산소가 많이 있으면 glycosylation이 방해 받는다

7. glycosylation 안됬을  일어나는 질환들

1)  면역계 관계

① 과면역 발생 : 각종 알러지, 천식, 비염, 습진  두드러기, 아토피

② 저면역 발생 : 발암, 각종 세균/바이러스/곰팡이   감염, 만성 피로 증후군

③ 자가면역 혹은 세포 교통 오류 발생

류마티스관절염, 루푸스, 다발성경화증, 당뇨병, 비만, 건선, 크론씨병

2)  염증 증가

 골관절염, 섬유근육통, 궤양성 대장염 등

3)  선천성 당화(glycosylation) 결합 – 12종

4)   기타 질환 발생 가능성 증가

뇌신경질환 관련 장애들(학습장애, 주의력결핍장애,

행동과다장애, 알쯔하이머 치매),

불임, 성장장애, 심장병, 조직거부(장기이식)

운동지구력 약화

8. glycosylation  되게 하는 당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 알로에베라, 약용버섯류, 엉거사과식물,

자운영속식물(콩과), 효모균, 옥수수

수액, 곡류껍질, 과일류의 펙틴

껌당질, 모유/초유, 해초류

마늘, 야자속살, 약용식물의 일부

갑각류

9. glycosylation 증진시키는 방법?

<1> Glycation, AGEs일으키는 음식 줄이기

<2> 글라칸 함유 영양소 많이 들어 있는 음식(MAC) 섭취하기

<3> 당화(glycatio) 예방을 위한 비타민 영양요법,

항산화제, 항당화제 복용하여 클린 해독하기

–> 염증과 활성산소를 줄여서 산화적스트레스를

줄여야 DNA손상을 줄여서 정상적인 단백질

폴딩과 Glycosylation이 일어난다

<4> 글리칸함유 당영양소를 음식으로 충분히 섭취가 불가능하므로

글리칸함유 다당체 영양제를 복용한다- glyconutrients

(5) 피부노화 예방 위한 당화(glycation)과 당화산물(AGEs)에 의한 당화손상의 예방과 치료는?

<1>   당화 예방 식이요법 및 습관교정

 

우리 인체 20대 후반부터 노화, 당화가 시작되어 매년 당화된 콜라겐 섬유가 3.7%씩 증가되는데 식이에 따라 편차가 있다일단 당화된 콜라겐섬유의 교차결합을 복구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일차적으로 생성 자체를 억제해야 하는데당화의 원인이 되는 포도당과 과당 및 이미 형성된 당화산물(AGEs)의 일차공급원인 음식 조절이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음식물 내의 당 성분 뿐 아니라음식물에 이미 포함된 당화산물(AGEs)은 쉽게 흡수되어 혈액을 거쳐 세포내외 성분과 결합하여 단백질의 교차결합염증세포내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노화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동일한 재료라도 조리방법에 따라 AGEs 생성률이 달라지게 되는데 데치거나 끓이는 경우 보다 고온의 오븐에 굽거나 튀길 경우 수십에서 수백 배 올라간다.

 

 

자유라디칼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줄이고 염증을 감소하기 위해 식이내 당분과 당화산물(AGEs)를 줄이고 항산화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은 미용적 목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로 건강에 유익하다.

 

ⓐ  당화를 일으키는 흰설탕(white sugar)나 액상과당(캔디, 과자, 빵종류, 탄산음료)이 들어 있는 음식을 피하자. – 단순당에 비해 10배 당화를 더 일으키기 때문에

ⓑ  이미 만들어진 최종당화산물(AGEs )이 포함된 음식을 피하자 (도넛, 바베큐된 고기, 케이크, 콜라, dark colored soda pop )

ⓒ Food additives : 생강, 계피, 미나리, 녹차, 후추, 마늘, 바질(허브) 등의 섭취를 늘리자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08), 생강 (93%),  계피(88%) 순서로 당-단백 당화산물(AGEs)의 생성을 감소시킨다.

Garlic(마늘)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7), 당화(glycation)와 당화산물(AGEs) 제거에 도움된다

ⓒ   항산화영양소가 풍부한 음식(녹황색 야채)을 꾸준히 섭취한다.

ⓓ  스트레스 완화, 충분한 휴식을 통해 자유라디칼의 생성을 줄이는 환경을 만든다.

ⓔ   항산화 영양 보충제를 권장범위 안에서 추가로 섭취한다.

<2> glycation당화 예방을 위한 비타민 영양요법, 항산화제, 항당화산제

glucose 나 fructose가 단백질이나 지질등과 glycation될 때 글루코사민 등이 경쟁적으로 glycosylation이 일어나면 AGE의 생성을 줄인다

1)  당화산물의 합성 예방하기 : 항당화 물질(anti-glycation suppliment) 

       –> 당화산물(AGEs)의 생성을 억제

①  Vitamin_C, E  – 항산화 + 당화 억제

②  알파리포익 산(ALA, chiotic acid, a-lipoic acid) :  항산화+당화억제 

 최근 FDA에서 승인받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자유라디칼을 직접 중화시키며표피세포를 자외선으로 인한 산화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알파리포익 산(ALA)은 당화를 억제하고 당화로 단백질의 당화손상을 복구하고 혈당조절에 관여하여  피부노화 예방, 당뇨알츠하이머백내장등 고혈당과 관련된 합병증도 예방 할 수 있다.

③ 플라보노이드, 실리마린

④ 벤포티아민(Vit B1) benfotiamine,      *  마늘주사 : 알리티아민(알리신+푸르설티아민)

비타민B1유도체중의 하나, 종말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AGE) 발생을 40% 억제. 고혈당으로 인해 폴리올대사나 비효소적 당화 등 여러 대사경로가 활성되어 이를 통해 생성되는 종말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AGE)이 체내에 축적되어 신경장애를 일으키는 것이다

벤포티아민이 비타민 B1의존성 효소인 트랜스케토라제의 활성을 최대 400%까지 높여 AGE 생성이 억제된다. 아울러 신경장애와 혈관장애의 발병에 관여하는 프로테인키나제 C와 전사인자(NF-)kB 역시 억제시킨다 

⑤ 카르노신 carnosine  : 항산화 + AGE형성의 강력한 억제제이다, 교차반응 억제기능.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라닌과 히스티딘이 결합된 형태의 성분이다. 근육과 뇌에 많으며 항당화, 항산화 효과가 알려져 있다

당화로 인한 DNA-단백질 교차 결합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해준다. 배양중인 세포의 수명을 연장하고 죽어가는 세포의 원기를 회복시킨다.  카르노신은 아밀로이드 펩티드의 노폐물에서 독성 물질이 만들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단백질과 설탕 또는 단백질과 DNA의 교차 결합을 예방함으로써 노화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한다.

하루 복용량 500-15000mg

⑥  pyridoxamine, (Vit B6 ) : 활성산소와  당과 지방의 당화로 발생된 AGEs 제거,  당화를 촉진시키는 중금속을 킬레이션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 당화효과

⑦  taurine, 시스테인의 유도체중의 하나(시스테인으로부터 합성). 

     당화 억제제 역할을하여 AGEs생성을 감소시킨다.   비타민 B6, 9와 타우린을 합께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⑧  Aminoguanidine (pimagedine)  :

    최종당화산물들간의 교차반응을 억제한다

⑨  aspirin, : 최종당화산물들간의 교차반응을 억제한다. 예) 아스피린을 오래 사용한 사람에게서 백내장이 덜 발생한다

⑩ metforminpioglitazone, and pentoxifylline.

 

항산화 비타민c, 콜라겐재생
리포솜 비타민C 3개월
종합해독제제
3세대 고기능 종합비타민
MTHFR활성도 낮은분-활성형 Quetrefoic제제
리포소멀 글리타치온
리포솜 글루타치온 해독제
해독 미네랄
해독, 항산화 미네랄
당독소 제게 제리
3Renoculate-당독소,아토피 프로바이오틱스
3종 알에스밀-유산균-에피컨트롤 포
항산화제-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의 항당화 효과

2) 당화산물(ACEs)의 교차결합(cross linking)을 분리하기 = AGE breaker

아스피린, 아미노구아니딘 등은 AGEs의 교차 반응을 억제하여 교차반응된 AGEs의 생성을 감소시키지만 이미

생성된 교차반응된 AGEs는 분리하지는 못한다

  Alagebrium (and related compounds ALT-462; ALT-486; ALT-946) and N-phenacyl thiazolium bromide.

ⓐ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을 분리시키는데 사용하는 약물로 모든 조직과 기관의 당화로 인한 딱딱함(stiffness)를 호전시킨다. ⓑ  AGEs로 인한 만성염증을 개선시킨다.  ⓒ  노화현상을 억제한다

3) 당화산물의 negative 효과를 예방하기 –  resveratrol

    

레스베라트롤은 식물이 곰팡이나 해충과 만났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방어물질이다.

레스베라트롤은 식물성 천연 폴리페놀계 물질로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에 많이 들어있다.

< 3 > glycation 당화 예방 피부관리법

 

당화를 억제시키는 성분이 들어 있는 제품으로 피부관리를 하면 당화가 예방되므로 항노화효과가 있다.

  • 녹차추출물 : 당화 과정을 억제하고 항산화제 역할, 콜라겐 생성 촉진 역할

  • 불루베리추출물 : 당화산물(AGEs) 억제에 도움, 콜라겐 생성 자극

  • 레티노이드 : 당화로 발생된 단백질 손상을 복구하고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새로운 콜라겐 생성

   

미라클은—> 전 성분의 나노화된 치료용화장품(나노더모코스메틱스, 나노코스메슈티칼)으로
 날마다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당화손상을 복구하여 365일 재생을 !!!!

< 4 > 당독소해결 다이어트 ; 5days 당독소다이어트

당화 

환경과 영양이 건강과 질환을 결정한다

1,  생명의 탄생 

2. 생명현상의 수행 

 3.  세포   

4.  인슐린저항성

5.  면역&염증 불균형 

6.  만성염증과 항염증식이요법 

1) 인플라마좀 ; 작용기전, 질병 발달에서의 역할, 그리고 치료법

2) 인플라마좀

7. 취약성(유전적, 후천적)과 환경이 = 만성질환을 발생시킨다  

취약성이 있으면 미세한 양의 환경독소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